2008년 06월 23일
French Wine...B
"France Bordeaux" 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한 "Saint-Emilion" 지역을
대표하는 "Wine" 중에 "Chateau Cheval-Blanc
& Chateau Ausone" 있다. 이외에도 수많은
"Chateau" 에서 생산되는 "와인" 들이 있으나 Chateau
Cheval-Blanc & Chateau Ausone 의 명성을
따라오지는 못한다. 거의 이 지역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Wine" 으로서 누구도 부정할 수는 없을 듯싶다.
그중에 Cheval-Blanc(1854) 은 지역적으로 배수가
가장 뛰어난 곳에 위치하며, 자갈층과 모래층이 혼합된
토양으로 이뤄진 37ha 의 작은 "Grape Vineyard" 로
되어 있으나 전통적인 지명도 있는 흔한 Chateau 에서는
찾아 볼 수 있는 특별한 유래를 간직하고 있다. 그것은
Bourbon Dynasty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Henri 4 세(1589-1610) 가
타고 다니던 "말" 의 이름을 기려서 생겨난 명칭이라는 것이다.
Henri 4 세 는 France 역사 속에서도 훌륭한 군주로 남아 있는
인물이면서 Capetian Dynasty Charlemagne 대제와 비견되는 인물이다.



"Bourbon" 왕조는 이전의
"Valois" 왕조가 "Charles 8 세
(1483-98)", "Louis 12세(1498-1515)",
"Fransois 1세(1515-1547)" 시대를
거치며 화려하게 꽃피웠던 시절(15-16 C)
속에서 "Italy" 와의 전쟁을 치르며, "취약해진 왕실
재정과 후세를 잇지 못해 생겨난 유럽의
왕가 중 하나이다. 전쟁은 실패했고 전쟁 때부터
생겨난 "신성 로마 제국" 을 통치하였던 단순
무식한 "Habsburg" 왕가 와의 적대 관계 이후 France
왕정이 몰락할 때까지 지속되었으며, Napoleon Bonaparte
사후 "복고 왕정"이 잠시 반짝거리다 사라졌으나
결국은 France 의 마지막 통치 왕가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겠다.
또한 유럽에 수많은 왕국을
건설하고 과거는 물론이고 막강한
영향을 가진 대표적인 왕가이기도 하다.
Fransois 1세, Henri 2세(1547-59) 때는...
France Renaissance 의 영향으로 화려한 문화를
꽃피우기 시작하지만 "Valois" 왕조 말기 부터 시작된
종교전쟁(1562-1598)으로 "Roman Catholic" 세력과
"Protestant" 세력이 무력으로 대치한 채 정계를 지배함으로써
왕권이 약해지는 현상을 가져 왔다. 그렿지만 "French
Wine" 으로서는 실제 역사 속에서 점차로 발전한 시기로 보여 진다.
"개인 사유화"가 가능해진 상태에서 경제적인 가치를 인정하고
투자라고 하는 행위들이 있었고 보다 질 좋은... Wine을 생산하기
위해 Grape Vineyard를 소유한 "Bourgeois" 계급세력들과 수도원 수도사들에
의해 토양을 과학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이렇게 생산된 질 좋은
"와인" 들을 당시 발달된 "국제적인 무역" System을 통해 유럽 각지로 팔려나가게 된다.


더불어 !! Renaissance 시대에
접어들자... 잦은 전쟁으로 혼란스러웠지만
생활수준은 향상되었고 비례하여 와인의 수요는
증가하게 되는데 특히 !! 궁정의 화려한 연회에 왕과
귀족들이 함께 하였던 모임에는 없어서는 안 될 물질로
와인이 반드시 함께 하였다고 전해진다. 더구나
왕이 와인을 좋아하는데 당시 !! 분위기로 귀족의 입장에서
와인을 마시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며 상황을 봐서는
"Top Class Wine" 들이 상당 부분 음용되어 졌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대중들에게도 기회는 주어지고 와인 수요는 증가한다.
잠시 !! 17 C 후반기 부터...
시작된 유럽 국가의 식민지
확장 정책(초기...)으로 주춤하기도
하지만 점차로 "Wine" 생산량이 증가하던
시점으로 보여 지며, French Revolution
(1789) 으로 "왕권" 이 붕괴되는 사태에 이르러
귀족이나 교회가 소유하고 있었던 대규모
Grape Vineyard 들이 소작인들(농민)에게 정책적으로
"분할되어 분배"가 이뤄지면서 자유로운 와인의
유통이 가능해진 시점으로 판단할 수있다.
또한 대혁명의 핵심적 위치에 있던 Bourgeois
계급들로부터 시장이 구체적으로 형성되면서 와인의 소비는
점차로 증가추세로 전환되기도 하는데 소지주, 일반
시민도 "Wine" 을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있었던 구조로 봐서
아마도 !! 이때부터 "Wine" 은 식탁 위에 항상 자리 잡게되고, 신대륙의
발견과 삼각 무역으로 "부" 를 획득한 상위 계층은 물론이고,
하부 계층에 이르기 까지 전방위적으로 선호되기에 이른다. 여기에
와인 양조에 눈부신 과학 기술이 접목되면서 고급화 되었고, 운송수단의
향상으로 저렴한 가격대의 와인이 대량 생산되어 유통이 가능해졌다는 점은 주목된다.



"야생 효모" 로 와인이
제조되었던 보편적인 시기로
품질이 일정하지 않거나 유해 세균에
의해 "Wine" 이 오염되어 실패하기도 하였던
어려움이 해소 되었던 것으로 장기간
숙성이 가능해지고, 그해 생산한 와인을
같은 해에 소비하는 경우도 많았지만 효모의
순수 배양과 저온 살균법 이 개발(1860) 되면서...
그리고 유황(아황산염) 이 사용되는 것이 유용하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와인 생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던 때이기도 하다.→ Louis Pasteur
또한 그 중심에는 한층 입지를 다진 Bordeaux Wine 이
자리 잡게 되었고 과거 "Catholic" 의 종교 행사 혹은 영주들의
여흥을 즐기던 장소에 각별하게 사용되는 호사를 누리게
되며, 한정 된 소비 형태에서 벗어나 더 많은 지역과
계층 속으로 흡수되는 현상을 겪게 되는 초기 단계로 상당한 의미로 다가선다.
시대적 배경으로서...
100 년 전쟁을 겪으면서
상대적으로 강력한 왕권의 기반을
획득한 Charles 7 세, Charles 8 세, Louis 12 세,
Fransois 1 세, Henri 2 세 등은 해외로
눈을 돌리는데 특히 당시 !! Italy 사이는
왕위 계승권으로 얽혀 있었기도 하지만 France
입장에서는 경제, 문화적으로 앞선 지역으로
가장 욕심을 내던 지역이었다. 결국 이러한 욕심이
전쟁으로 이어졌고, 전쟁 원인은 13 C 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13 C... 독일의 Friedrich 2 세 가
죽은 뒤 "Sicilia" 왕위가 France로
넘어가면서 "Anjou" 가문이 Sicilia을 지배
하게 되는데 Anjou 가의 지배는 결국
"시칠리아 만종(1282)" 이라는 민중 반란에 의해
종식되고 Sicilia 왕국은 Sicilia / Napoli 로 분열되었다.


Anjou 가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Sicilia는 "Aragon" 의 지배하에 들어간다.
그러다가 "Aragon" 은 나폴리 마저 점령(1442)
하게 되고... "Sicilia" 왕국을 건설하게 되는데...
40여년이 지난 후 왕위에 오른 Charles 8세
(1483-1498)는 "Aragon" 에 빼앗긴 나폴리 왕위를 요구
하며 Italy 를 침공하고 이듬해 1495 년"Slow Food" 의
본고장 "Firenze" 에 입성한다. 하지만 결국 Charles 8세도
도시국가들과 교황이 결탁한 세력에 의해 내몰리면서
이러한 사건으로 Italy Renaissance 문화가 유입되는 계기가
주어지며 다소나마 전쟁에 의해 상처를 받은 France는
문화적으로는 성장할 수 있었던 계기를 부여 받게 되지만
이러한 악연이 "Louis 12 세" 때 새로운 원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지속되며, 이때는 반-프랑스 동맹으로 좌절되기도 한다.
뒤를 이어 정복욕으로
똘똘... 뭉친 Fransois 1세
(1515-1547) 마저 Milano 점령 후
신성 로마 황제에 등극하려는 야심으로
다시 원정을 시도 하지만 이마저도 실패를
하는데 이때 France 내부는 종횡무진 권력의
이합집산이 이뤄지며, 권력 투쟁이 일어난다. 주목
되는 것은 정치, 종교의 혼란기(구교 ↔ 신교의
대립)가 가속화되면서 불완전한 외교정책으로 일관
되어진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국내외적으로 복잡한 형국이
되어가던 중 "Fransois 1 세"는 교황(Catholic)세력에 유화책을
사용할 필요가 절실해지고, 결국 Italy Catholic 가문... 메디치
가문의 "Catherine de Médicis" 을 왕태자(Henri 2 세)와 정략적으로
혼인을 성사시키는데 성공 하지만 Catholic 국가였던 프랑스 에게
엄청난 종교 전쟁(= Huguenot War)이라는 치욕스런 역사의 아픔을 간직하게 한다.


어찌되었든지 일단 왕위에 오른...
Henri 2 세는 Italy에 대한 야망을 접고,
라인 강 유역의 "Lauren" 지방 귀속에 전념하면서
영국과의 정략적 관계를 성립시키며,
웃기는 일이지만 독일 내의 신교 파 제후들과 유대도
강화되던 때이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Henri 2 세의
노력으로 프랑스 지역의 영토적인 통일성을 확보하던
시기였던 것만큼은 확실하다. 또한 Italy Renaissance 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던 시기로 역사는 그렇게 말없이 흘러왔던 것이다.
잔인한 역사적 변화의 물결은...
지금부터 흥미진진하게 흐르는데
헨리 2 세 사후... Fransois 2 세(1559-1560)가
왕위에 오르지만 어렸던 왕을 대신하여
Catherine de Médicis 의 섭정이 시작된다는
사실이다. 그녀의 섭정 후 프랑스 국내는 정치, 종교
문제로 혼란스럽게 진행되며, 원인을 알 수 없지만
Fransois 2 세는 곧 요절한다. 이후에도 Catherine 은 막강한
정치적인 영향력을 활용하여 Fransois 2 세의 아우
Charles 9 세를(1560-1574) 왕위를 계승시키면서 승승장구
하게 되고 이때부터 어쩐일인지 Huguenot People 에
대한 탄압이 현실화 되는데 유화책이 시도되지만 Catholic &
Huguenot 세력의 반목과 학살, 방화로 이어지는 양면적인 상황이
전개되면서 내란 상태의 폭력 전쟁의 불씨는 커져만 갔다.
이때 멀쩡한 귀족의 Huguenot 에 대한 살인(1562)이 증폭되어 결국...
"종교 전쟁" 으로 비화하는
최초의 사태에 직면하게 되었고,
귀족들 간의 세력 다툼, 귀족과 왕의 대립,
왕위 계승 문제로 프랑스는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소용돌이 속으로 매몰되기만 하였다. 이러한...
와중에 England & Spain 의 세력이 가담하게
되었고, Saint-Germain 조약이 체결된다. 이로인하여
"종교전쟁"은 잠시 소강상태에 직면하지만 주목되는 사실은
Catherine 에 의해 Marguerite + Huguenot 의 지도자
나바르-공국(Basques) "Henri de Navarre" 와 "정략적 혼인"이
성사된다는 사실이다. 이점에서...Catherine 은 독부였으며,
딸의 결혼마저 철저하게 정치적으로 이용한 비정한 어머니이기도 하였다.



문제는 결혼식 장(1572. 08. 23)
에서 Catherine & Henri de Guise
주도하에 Catholic 교도들에 의한 대량
학살이 벌어진다는 사실이다. →
Saint Bartholomew's Day 이것은 Charles
9세가 자신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고
온건 Catholic 세력인 "Coligny" 와 가까워지는
것에 불만을 가진 "Catherine" 의 계획 아래 자행된
역사적인 학살 사건으로 당시 !! Huguenot People
학살은 파리에만 한정되지 않았고 Lyon & Orléans 에
까지 확대되었으며 그곳에서의 학살은 참혹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때 대부분의 Huguenot 왕족과 지도자들이 학살되었음 !!
여기서... Henri de Navarre 는
무사할 수 있었는데 포로 신세가
되어 "Louvre" 궁에 갇혀 있게 되지만
Huguenot People 의 도움으로 탈출 후
Catholic 세력에 저항을 하게 된다. 이러면서
Charles 9 세가 사망하고 Henri 3 세(1574-1589)가
왕위 계승을 하며 이때 Huguenot People 들에
대한 유화책이 비로서 실현되었는데 이에 불만을 갖고
있던 Henri de Guise & Henri 3 세의 아우가 결탁되어 국왕에게
대항하기에 이른다. 이처럼 무모한 행위들이 지속되었던
것은 결국 "왕위 계승문제"로 Henri de Bourbon 에게 왕위가
넘어갈 것을 염려한 Henri de Guise 의 욕심에서 비롯된 일들로 그는
쿠데타를 일으키고 결국 Spain의 도움으로 Henri 3 세를 축출 하지만
그... 역시 !! Henri 3 세 & Henri de Navarre 결탁 세력에게 암살당하게 된다.
안타까운 사실은 Henri 3 세 또한...
Dominic 수도회의 광정적인 신도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것으로 죽기 전에... 어쩔 수
없이 Henri de Navarre 을 자신의 후계자로 지목
하고 그의 개종을 권유하는 유서를 남겼고 수많은 희생을
뒤로 하면서 France 왕위는 이렇게 Bourbon-
Dynasty로 넘어오며 France의 새로운 왕조는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
.
.


Paulette(폴레트 세)로 재정을
확충하며, 수입보다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 농업 장려, 도로와 교량 개축,
신설(Seine River Pont Neuf Bridge)
한편으로...Henri 4세는 후세가 없었다. 이에...
Italy Toscana 대공의 질녀 Marie de Medicis 와
재혼 후 Louis 13 세 탄생(1601) 자신은 Catholic
신도에 의해 살해됨 !! France의 위대한 왕으로 칭송 !!
Turning Point
삼부회 성립 = 귀족, 성직자,
Bourgeois의 대표로 구성 / 절대적
왕권의 매개체, 봉건적 개념 신민을 지배할
권리가 신종 서약의 대가로 봉신에게 양도되는
개념(지역적), 절대적 개념으로주군인 왕이
여전히 신민을 지배할 권리를 보유한다는 개념(전국적)



Bourbon Dynasty에서...
왕권은 더욱 강화되었지만 한편으로,
지방 제후들의 막강한 힘 또한 지속되었다.
당시 막강한 위치에 있었던 지방 제후는
Bretagne, Anjou, Bourgogne이었는데 예컨대...
Bourgogne 지방은 100년 전쟁 기간 중에도
세력이 확장(1363)되는 모습을 보인다. 정치적으로도
넓은 영토를 소유하고 있기도 하였지만 경제적으로
Flandres 지역(모직물)의 부유한 도시들의 수입을 확보하고
있었기에 문화적으로도 Italy Renaissance 에 버금가는
독특한 Flandres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당시
Bourgogne 궁전은 유럽에서 가장 화려한 곳으로 칭송
받았고, Dijon 의 경우 파리 보다 높은 문화를 향유하고 있었다.
France 왕권은 17 C...
Louis 14 세에 이르러야
완전한 "왕권"이 성립되었다.
따라서 France 중세 말기 귀족
문화를 상징하던 곳은...Bourgogne
이었으며, 몰락하는 귀족의 마지막
모습을 간직한 곳 또한 Bourgogne 이다.
당시 !!중세 예술은 귀족들의
환락과 즐거움을 주는 소모적 예술
형태로 표현되었는데 귀족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이끌고 환락적인 모습으로 지속
되던 과정이 지속되었다. 그래서 이 시대 문화의
중심은 파리 보다는 Bourgogne 이라는 의미이고, (15 C 서-유럽 중세 문학의
본산→1363-1404)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나
호기심과 허영심을 만족시키는 축제에 골몰하게
되면서 귀족 사회는 엄청난 축제를 꾸미고 즐겼다. ...귀족 사회
Italy 문화와 대변되는 저지대
문화권 형성(건축과 회화, 조각분야)
반면 Paris는 Italy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는데 회화 분야에서 Renaissance 기법을
가장 먼저 도입한 화가는 Jean Fouguet 이다. 15 C
중반 Italy 를 여행하고 돌아와 "원근법"을 이용한
사실적인 "세밀화"를 그려내었는데 대표적인 것은
Charles 7 세의 초상화, 아기예수를 안은 성모를 꼽을 수 있다.
중세 시대 말기 시절은
"흑사병, 전쟁, 반란과 봉기,
대 기근"으로 죽음이 일상화 되었던
시기로 인간의 생각과 감동이 가장 강렬
하였던 시대로 반면에 해학과 풍자적 성격이
강했던 종교극으로 대변되던 연극 무대
공존하며, 종교 극의 탄압이 가시화 되던 시기로 볼 수 있다.
Louis 13 세(1610-1643) 9 살에
왕위 계승 / Marie de Medicis 섭정, 13 세에 섭정 종결 !!
.
.
.



이때 정치적으로
출세가도를 달리기 시작한
Richelieu 추기경이 등장(1624)
하는데 강력한 왕권과 위대한 국가
재건 목표로 하지만 개인적인 정치적 야망이
작용 하였다. 당시 처음으로 국가주의가
성립되었으며, "절대 주의"에 성큼 다가선다.
Richelieu 가 1624 년 사망하고 Mazarin 이 뒤를 이어
왕권 강화, 국가적인 안정 추구하였으나 과도한
과세 문제로 La Fronde 난을 일으키는 촉매 구실을
하기도 하였지만 역으로는 왕권이 강회되는 계기가 되었다.
01. Mazarin(Italy 추기경 출신)
02. 콩테의 Fronde→1651-1653)
03. 고등 법원과 시민 세력 대항
(자유주의 적인 공화 주의 사상) → 1648. 06
04. La Fronde(군주 Mazarin에 대한 저항)→ 1648-1649
17 C Richelieu / Mazarin이 추구한 이념 = 절대 주의 !!
Louis 13 세 + Anne D'autriche(Austria) = Louis 14 세
Louis 13 세 사망(Louis 14 세 당시 5 세 즉위...)
Louis 14 세(1643-1715)
Anne D'autriche, Mazarin
섭정 시기, Richelieu가 시작한
Deutschland(신교), Austria(구교)의
30년 전쟁(독일 지원)을 종식 시키고
Peace of Westfalen 체결(1648) 그의 외교적
수완으로 가급적 그 지역에서 많은 곳을
확보하였고 이러한 조약에 의해 1552년부터
점령해온 3개의 주교구의 소유를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현재의 Alsace 지방 대부분은 이때 양도
받게 된 것이다. 또한 프랑스 에 위협적이던 Austria
The House of Habsburg의 정치적 야심 또한
사라져 정치적 안정도 보장받게 된다. 반면에 당시 !!
Deutschland & Austria 는 이러한 조약으로 인해
정치적, 종교적으로 분열이 가속화 되었고 국가 수립이
더욱 어렵게 된다. ...유럽에서 절대적 지위 확보...France
왕권신수설 / "짐이 곧 국가다."
정통성 없는 권력은
언제나 적대적이고 도전적인
세력들의 방해를 받는다. 그러나
왕의 권력은 힘으로 다툰 결과 승리
한자가 보유한 것이 아니라 "신의 대리인"
으로서 신에게 받은 권한이다. 이로써
왕의 권력은 신성불가침이요, 절대적인
것이 된다. 그래서 왕은 신에게만 책임을 지고,
신에게만 복종하는 의무만을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 !! 17 C ...모든 국왕들이 선호하던 정치사상...
Louis 14 세(태양왕) /
절대 왕정 체제 완성 !! 재무 총감
Colbert 등장...Colbert 주의(중앙과 지방의
관료체제 구축) 수출을 증대하고 수입을 억제하며,
국부 유출을 막고, 국가를 부강하게 하는 것,
이것을 위해 Colbert 는 관세를 정비하고, 도로와 운하
개통을 추진하며 상업을 촉진시킨다. "동 인도 회사 설립"
국제 무역 증진과 식민지 획득에도 노력한다. 국내
공업 활성화, 농업 진흥 추진(개간 사업과 관계시설 확충)이
이루어짐을써 17 C... 국부는 증가하지만 무모한 대외 전쟁으로...
극심한 재정 악화를 불러 왔으며 궁정의 재산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Louis 14 세는 Colbert 정책에 의해 신장된 국력을 영토 확장에
소비 시킨다. Spain 왕위 계승에도 관여, Bourbon Dynasty 의 폐해 직접적 영향
Louis 14 세 치세 때...중지되어
있었던 Huguenot, 얀센 주의자들 탄압이
다시 시작되는데 이들은 당시...개종을 권유
받지만 망명을 선택함으로 집단 탈출이 이뤄지며
이때 상장 수의 기술자들과 자본의 국외 유출이
이뤄졌으며 대부분 영국과 신대륙으로 이주(20만 추정)
하였다고 전해진다. 내부적으로는 Edict of Nantes
(낭트 칙령 / 1685. 10) 폐지로 종교적인 탄압 가속화되면서
이처럼 절대적인 왕권을 겁 대가리 없이 행하게 된 것은
국왕에 대한 절대적 권력 부인으로"공화주의 적인 색채"로 변질
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어쩌면 Louis 14세의
절대 왕정에 대한 자신감의 표출이었는지도 모른다. 더구나 Catholic
내부에서도 점차로 개혁 세력들이 준동하는 시점에서
"Louis 14 세"의 선택은 잔인한 방향으로 흐를 수밖에 없던 것으로 판단된다.
.
.
.

Warwick Landscape Scotthana

Turning Point
17 C... 후반 종교 박해를
피해 망명한 France Huguenot
People 들이 개척한 유서 깊은
Vineyard !! Plaisir de Merle(플레지르 드 메를즈)
Shiraz, Pinotage = Pinot Noir + Hermitage(Cinsaut)
1688 년 개척한 유서
깊은 Winery !! 문자 그대로
"티티새의 기쁨"을 의미
하는데 이 이름은 France 에서
수확기가 다가왔다는 것을 통보하는
작은 새에서 비롯 되었을 수도
있으며 현재...South Africa 에서 가장 큰 Wine 생산지


Haute Cabriere

.
.
.
현실적으로 왕권이 강화
되었다는 사실이 증명되면서
귀족들의 모습도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고, 중상 귀족들이 지방 귀족
들을 흡수하면서 새로운 사교계를 형성
하게 된다는 점이다. 군주와 상류층
중심의 세련된 사교계에서 기사 계급의
후퇴(기사도 상실)후퇴할 수밖에 없었으며,
반면에 상대방에 대한 고려와 예의는 증대되었고
Italy Renaissance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던 때이므로 16-17 C... 프랑스에 발달된 귀족 문화는
발전되었다. 또한 인쇄술의 발달과 지식 생활의
향상으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우아함과
세련됨을 추구하는 귀족 문화와 Bourgeois들의
합리적인 계몽사상이 병존한 시대였다. 물론 Louis 15 세
섭정 시대(Orleans)까지 지속되는데 이 시기 절정을 이룬다.
Turning Point
절대 왕정의 핵심적인
권력은(정치 권력)국왕에게
있었다. 설명되었듯이 봉건 시대
제후들에게 절대 권력으로서
집중이 아니라 단지 !! 권력이 분산
되었던 중세 봉건시대에 비해 점차로
왕권이 모아졌던 것을 의미한다.
당시 왕권은 지방의 토착 제후들에게
끊임없는 견제를 받아왔으며, 실제로 여러
제약에 묶여 있었던 것만큼은 확실하다.
(세습 귀족과 의회세력)따라서 왕권은 예속된
군대와 관료들의 지원이 절실하였고, 굴복시킬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절대 왕권을 행사하게 된다.
관료라고 함은 귀족이 아닌 신분으로 대부분
시민 층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통치와 행정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국왕이 의존하던 핵심세력이기도 하였다.
이에 따른 부작용도 존재하는데 그것은 토지가 아닌 봉급을
주는 System 으로 팽창에 비례하여 자연스럽게 재정의
지출은 극대화되어 부족한 국가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당시 왕의
군대라는 것은 차후
"용병제에서 징병제"로 전환
되지만 대다수가 "돈"을 받고
싸우는 하층민들로 구성된
용병들이었기에 절대 왕정은 상당한
부분의 국가 재정을 세금을 통해
조달하였고 대상은 시민 계급에 집중
되어 잦은 반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당시 왕으로서는 이들과의 관계설정에 있어
유대를 강화해야 하는 필연적 요소 또한
갖고 있었기 때문에 경제 정책은 물론이고, 국가의
정책은 자연스럽게 경제력을 향상시키는데 집중되기도 한다.
절대 왕정은 금권
통치를 위해서 많은 돈이
필요한 체제이었다. 이를 위해
조세 제도를 확립하고 상업과 무역
중심의 중상주의(Bullionism) 를
실현시키며, 공업 정책 또한 중요시
하였는데 외국의 상품에 대해서는 보호
관세를 실시하며, 값싼 원료 및 판매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식민지 쟁탈전도
경제 정책에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결국 절대 왕정의 경제체제로 중상주의
(중금주의)는 국가의 간섭, 통제 보호, 육성을
기본적인 내용으로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절대 왕권 강화와 국가적인 통일에 있었다....국가주의
상업, 무역, 공업 우위
절대 왕정하의 사회는
신분사회로서 세습적이면서
소수 계층의 사람들에게는
형통에 의해서가 아니라 개인의
능력과 기회 부여에 따라 상류층으로
진입이 가능한 사회였다. 중세 말
이후 화폐 경제(18 C)로 변화되면서 도시와
농촌의 빈부의 격차는 심화되는데 이때
도시의 시민 계층은 부유해지며, 기본적으로는
자신들의 잠재적인 능력에 대해 과신하기도 한다.
반면 농촌 사회는 시기적으로 지역에 따라
커다란 편차를 가지고 있어서 외부로의 이동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폐쇄적이면서도 보수적인 색채로
변화되며, 지방 중심적인 사고로 변화에 대한
요구가 극히 제한적인 계층으로 분류되기 시작한다.→16-18 C 자본주의 성장
중세 자급자족 농업 중심
사회에서 소비 대신 투자를 이끌어
낸 이유로 꼽을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가격 혁명이 발생되었기 때문인데 생필품의
공급이 수요를 감당할 수 없게 되자 물가는 계속
올랐으며,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서 현재 보다는
이익을 볼 것이 확실할 때 소비에 쓰일 여유 자본은
투자로 전환된다. 더구나 가격 폭등은 투자의 위험도 감소
시켜 주었는데 두 번째로는 부의 분배가 편중되었다는 사실이다.
16 C... 인구 증가는 실업 증대를
초래하여 고용주는 보다 저렴한 임금으로
사람을 고용하여 임금을 낮춘 만큼 이윤을 확대
하였으며, 새로운 투자를 시도하게 된다.
(상인 자본가) 또한 장자 상속제의 관행은 장남을
제외한 다른 자녀들을 가난하게 만들었으나 사회적으로는
장남은 투자 여력을 갖게 되었고, 차남 혹은 딸들은
도시로 이주하여 부를 키우거나 수도원, 수녀원으로 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국가에 대한
투자 유도를 들 수 있는데 국가는
거대한 소비자로써 근대 국가 확립
기간에 재정지출을 늘린 만큼 소비를 확대
하였으며, 특정 분야에서는 직접적
투자자로서 참여한다. 이러한 이유로 경제는
활성화되었고, 대 규모화가 실현되면서 결과적으로
상업 자본의 형성과정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갖게 한 것이다.
따라서 후일... 산업 자본과는 확실히 구분되는 것으로
산업 자본 형성을 예비하는 것으로 평가하면 될 것이다.
→경제 활동의 변화기(1450-1600) = Risk가 있더라도 미래를 위한 투자 활성화



중세 대성당들이
무명의 장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면 Renaissance
시기의 건축은 천재적인 만능인들에
의해 세워졌다. (귀족들의 엘리트적인 요소 반영)
Loire River
Chateau de Chenonceau, Chateau de Villandry,
Chateau and Estate of Chambord, Chateau de Fontainebleau
당시 귀족들의 문화는
축제와 연회로 대표되었는데
귀족들은 다양한 모임(Salon &
Academy), 희곡과 오페라가 상연되는
연회로 나날을 보냈다. (사교를 위한 공간,
학문적, 정치적 토론장) 시대적인 건축물은
고전적인 전통을 유지하였으나 실내외 장식은
Rococo라는 Louis 15 세 Type 의 양식이
도입되었고 이러한 양식은 윤곽의 형태를 곱게
처리 한다기보다는 지나치게 꾸미는 것을 선호하였는데
곧이어 간결한과 엄격함을 추구하는"신고전주의 양식"들이 등장한다.
Saint Sulpice Place Paris, Pantheon
고전주의의 대표적인 건축물
= Versailles 궁전에도 Rococo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도 있다.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뤄진 벽과 천장(흰색, 금색의 배색)



Baroque et Classique
Louis 14 세 치세 절대주의 이념이
예술과 문화에도 영향을 주어 보편성과
통일성을 추구하는 고전주의 문화가 등장한다.
Baroque 문화가 불균형과 부조화를
강조한 것에 비하여 "고전주의 문화"는 "균형과
조화"를 강조하게 된다. 그것은 절대 주의 이상으로
질서와 균형, 법칙 등을 예술에 반영시킨 것으로
높은 취향과 취미를 겸비한 Louis 14세는 자신의 통치
기반을 영광스럽게 하기 위하여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기도
하는데 대표적 것으로 Versailles Palace 을 말할 수 있다.
(1662-1702) Versailles 는 Flandre 보다는 Italy 특히...
Roman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평범한 사냥용 별장을 개조
하면서부터 시작된다. Saint-Germain, Louvre, Fontainebleau 을
이미 소유한 국왕은 Versailles Palace 만큼은 특별히 축제를
위한 공간으로 만들고자 하였고 넓은 정원과 홀... 축제를 위한 임시
건물이나 궁전 내부의 정원 장식은 많은 곳에 Baroque 잔재를
남겼다. 궁전 전체가 주는 절도, 장엄함, 좌우 대칭은 고전주의 예술의 완전한 표본이다.
왕에 대한 예절과 존경을 표시하는
축제, 외국의 대사나 군주를 영접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되던 이곳은 공연을 중시하였던 시대적
취향도 함께하였는데 과거와 같이 기마 수렵,
"장거리 여행, 마상 시합, 모의 전투(16 C)"와는 다른
형태로 연회, 오락, 음악회를 하였으며, 무도회, 연극, 발레,
희극, 오페라 중심으로 감정을 억제하고 열정을 순화
시키는 고전주의 색채를 띠게 된다. 좀 더 정확히 표현하면
Louis 14 세의 궁정은 왕을 중심으로 모이는 형태로 귀족
사회가 재편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16 C... 이래 시작한
세련되고 우아한 양식이 더욱 확고한 틀을 갖추어 화려하게 변신하게 된다. →17 C
당시 귀족들은 Louis 14 세에 의해
부양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으며, 풍부한
연금과 서훈으로 받은 직책, 딸을 위한 결혼 지참금,
아들을 위한 사관 증서를 하사 받는 대신 왕을
위한 축제와 의식의 들러리가 되었다. 따라서 귀족들은
왕의 환심을 사고, 아첨하는 일에 골몰할 수밖에 없었던 것인데
국왕이 만든 울타리 속에서 귀족들은 무력해져 갔으며,
국왕 또한 귀족들에 대한 위험성은 제거되었으나 국가적으로는
엄청난 재정적 부담감을 주는 결과를 초래 한다. 또한 16 C 적인
현상으로 불릴 만큼 호황을 누렸던 경제는 17 C 가 되면서 쇠퇴하기 시작
하는데 이때 등장한 것이 17 C 위기론이며 France는 서서히 경제가
회복되어 혁명의 기운이 감돌기 시작하면서도 번영을 구가하게 된다. →18 C / 1775
.
.
.
Turning Point
너무 오래 살은 Louis 14 세
(77세 사망)그의 장남과 손자들까지
사망, 당시 겨우 2 세였던 그의 증손자가
왕위 계승을 하며, Louis 14세의 조카이면서
사위이기도 한 오를레앙 공에 의해 1723 년까지 섭정 통치→고등법원
.
.
.



우려하여 그의 서자들에게 권력을
분산시키는 유언을 남겼으나 고등법원을
개입시킨 섭정 Orleans 에 의해 무력화 된다.
뿐만 아니라 Louis 14 세 때 탄압을 받던
얀센 주의자들을 해방시키고, 외교적으로도
적대관계에 있던 Austria 와 화해를 이룬다. 한마디로
그의 정치는 Louis 14 세에 대한 반동의 정치라고
할 수 있다. Orleans 시대 자유롭고 강력해진 귀족들은
그 시대를 방탕과 Scandal 로 물들였으며, 16 C 이후
확립된 귀족들의 우아하고 세련된 양식은 Orleans
시대에 이르러 향락과 방탕에 젖어 도덕적 타락의 길로 들어선다.
성년이 된 Louis 15 세는
Fleury에게 정치를 맡기고
Orleans 를 제거하는 한편 Colbert
주의 정책을 채택 France 경제를 부흥
시키고 영토 확장에 주력하며 폴란드,
러시아의 분쟁에도 개입되어 로렌 지방을
확보한다. 여기서 잠시 !! Austria 왕위 계승
전쟁(1740-1748)에 대해 살펴보자 !!
1740년 Austria 황제 칼 5 세가 사망하면서
황위 계승 문제가 부각된다. 황제는 딸에게 영토를
상속하고 싶어 생전에 국사 칙령을 선포하고,
제후들의 동의를 받아둔 상태이었으나 국사칙령은
여성이 왕위 계승을 금하는 전통적인 German
법에 반하여 Maria Theresia 의 황위 상속을 규정한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 칙령에 의해
Maria Theresia 가 황위 계승을
하자 제후들은 그것을 인정하려 하지
않았으며, 특히 Preussen 은 칙령을 무시
하고 "실레이지아"를 점령하기 까지 하는데 이에
France & Spain 입장에서 Preussen 을 저지 하면서
전쟁은 발생한다. 결국 영국과 조약이 체결
(Aix La Chapelle, 1748) 되고 조약에 의해 Maria-
Theresia 가 왕위를 계승하였으며, Preussen 은
패전국에도 불구하고 "실레지아" 를 확보한다. 그렇지만 우습게도...
프랑스는 전쟁에 얻은 것이
없었는데 더구나 전쟁으로 인한 재정적
손실을 "5 % 세" 를 신설하여 채우려 하는 정책까지
국민과 고등법원의 반대에 부딪혀 실현되지
못하는 재정적 어려울 겪게 되었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Austria 왕위 계승 전쟁이 미치는 영향으로 유럽뿐만
아니라 식민지에 까지 확대되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France 식민 정책에 치명적인 결과를 양산시키는데
식민지 정책에서 England 에 우위권을 상실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France & England / 식민지 전쟁
인도 / England(동인도 회사), France(동인도 회사)
서인도 제도 / England(자마이카, 대서양 연안), France(산토도밍고, 루이지애나)
점차로 확대되는
Preussen 의 확대 정책
(Friedrich 2세) 으로 200 년간
외교적 숙적 관계 형성되며,
Austria와 화해하고 Preussen 을
견제한다. 여기서 France 는 Russia까지
합류 시켜 Preussen 에 대항하지만
Preussen 도 대영제국을 끌어들여
전쟁을 시작하는데 이번에도 프랑스는 대패한다. →1756-1763
마치 식민지 쟁탈 권
전쟁처럼 비화된 전쟁으로
Paris 조약(1763) 에 의해 Canada
왼쪽은 England, 오른쪽은 Spain, 양도
되지만 이로 인하여 England 은 북미
대륙과 인도에서 압도적인 위치로 성장하게
되고 France는 사탕수수 산지 "서인도 제도"를
확보한 것이 그나마 다행일 정도가 된다.
즉 !! "7년 전쟁" 의 여파로 Preussen은 유럽에서
강국으로 부상하고 England는 식민지 정책에서 우위를
보여 세계적인 제국으로 성장하며. 프랑스는 결과적으로
Louis 14 세 치세 때 이뤄 놓은 지위와 기반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


Louis 15세 친정체제
(1745-1764)의 실제 권력은 왕의
애첩 Madame de Pompadour 에 의해
이뤄지는데 이것은 비극의 씨앗을
잉태한 것으로 Madame de Pompadour 는
왕을 움직이고 싶어 하는 정치인에게 훈련 받은
신민 출신의 후궁이었다. 무려 20년 동안
Louis 15 세와 프랑스 정치를 좌지우지하였으며,
정부 고관의 임명에도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였다.
문제는Louis 15 세의 또 다른 애첩 Madame Dubarry
출현 후 정치 개입이 이뤄지면서 정치계는 더욱 혼란스러워졌다는 사실이다.
예수회 억압,
얀센주의자, 국교회
주의자, 계몽사상가들
후원, 고등법원과 세력 균형
부실한 재정 문제 부각,
그리고 계속되는 승리 없는
전쟁의 악순환 =
고등법원의 정책 반대(과세 안, 증세)
.
.
.


북동쪽으로
Luxembourg, Belgium,
북서쪽으로 English Channel,
서쪽으로 Atlantic Ocean &
Bay of Biscay, 남쪽으로 Spain,
Andorra, Mediterranean Sea, 동쪽으로
Italy, Swiss, Deutschland 에 맞닿아
있고, Mediterranean Sea Corsica
Island 를 포함한다. 면적 543,965㎢, 인구 59,773,000
대서양, 지중해, 대륙의
영향이 적절하게 결합된 온대성 기후 !!
산지(산맥)와 북동부의 Alsace 지방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온화한 기후로
Paris 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해양과 대륙의 혼합된 형태의 기후를 갖고
있어 남동부 지역의 경우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으로
추운 겨울이라고 하더라도 온난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평균 기온은 11℃ 이고, 연평균 강우량은 약 585 ㎜
대표되는 최고봉으로 해발 4,807 m, Mont Blanc 을 보유하고 있다.


남반구, 북반구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략 남, 북위
30 도-50 도 사이의 평균 기온 10℃-20℃
지역이 Grape 재배가 가장 잘되는 곳이다.
따라서 가장 좋은 환경은 언덕, 구릉 같은 경사진
지면에 위치하여 "충분한 일조량"을 받을 수
있는 곳으로 습기가 적고, 시원하며 안개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지역이 최상의 지역으로 손꼽을 수
있는데 예외의 경우도 존재하며, 여기에 서리의 피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배수" 도 탁월한 지역이 가장 좋다고 한다.
화창하고 따뜻한 여름이 길게
지속되면 이상적이며, "당도와 산도"가
조화롭게 성숙할 수 있는 건조하고 햇빛이
많은 가을이 맛을 성숙시키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한다. 그러나 추운겨울의 경우
기온 차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으며, 자연의 변화로
온도에 잘 적응되면서 견딜 수 있는 여건이 성숙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Grape Variety에 따라 겨울의
추위, 봄 서리, 홍수, 더위, 추위 등을
좋아하는 Variety 이 있고, 싫어하는 Variety 로
나눌 수 있다고 하는데 재배가 척박한 땅
일수록 좋은 Grape 를 생산해 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고, 석회석, 자갈, 모래, 암반 등이 섞인 토양을
Grape가 특히 좋아한다는 점에서 Grape의 생장
조건들이 그만큼 까다롭고 예민하다고 볼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자갈 이 섞인 토양은 낮 동안 태양의 열을
받아 간직했다가 밤에 다시 발산해 주며 생장에 필요한
적절한 지열조정역할을 담당한다고 하게 되는데 영양분이
많은 부식토보다는 진흙 성분이 뿌리 쪽에서 수분이
완전히 빠져 나가는 것을 막아주면서 저장된 수분을 필요에
따라 뿌리에 공급해주는 기능을 돕기 때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
.



.
.
.
때문에 Grape... 온대
지방에서도 잘 성장 하지만, 특히
여름이 덥고 건조하고 겨울에는 춥지 않은
지중해 성 기후가 훌륭한 환경적인 요소를 제공
한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적으로 최상의
Grape 재배 기후 조건이 되는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국가(French, Spain, Italy)등이 최적의 Wine 생산국이 된다는 사실이다.
Mediterranean Vegetation/ 지중해 식생
남, 북위 30-50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 대개 분포
하고 있는데 Grape 농사가 잘되는
것은 아마도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불변의 특성 !!
Red Wine / The South
강렬한 햇볕이
내리쬐는 지중해 연안에서
풍부한 당과 진한 색깔을 갖게 한다.
White Wine / The North
가장 기본적인
재료가 되어주는 일명
"청포도"는 약간 서늘함
기후 속에서 자라면서 신맛이
적절히 배합된 Grape로 성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골고루 갖추어 있고, 최상의
재배 조건을 제공하고 있는 곳은
아주 오랜 세월을 지나오면서도 변하지
않는 불변의 "맛과 향" 을 갖도록 하며, 질과
양적인 면에서 최고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역사 속에서 이러한
사실이 증명되고 있는 것 중 전해오는 이야기 중에
당시 !! 오죽했으면 Roman Empire의 황제가
Roma Wine 산업에 위협이 된다며 France에
Grape Tree를 모두 없애라는 명을 내렸다고 하지 않은가 !!
최적의 Vineyard에서
최상의 Grape로 만들어진 최고의 Wine !!



한때 "종교 전쟁" 의 여파로
Muslim에 의해 황폐화되어
있기도 하였던 Old World Wine
List 중에 Israel Wine, Lebanon
Wine이 있는데, 종교적인 색채가 강한
Israel Wine 의 경우 기원전에서부터∼
Wine 산업이 활성화되어 있을 필요가
있었고, Muslim 에 의해 파괴(AD 636)
당하기도 했으나 유럽에서 밀려들어 온 십자군
(AD1100-1300) 에 의해 다시 재건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 후 유대인의 추방
정책으로 다시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불가사의한 끈끈한
생명력을 갖은 유대인의 귀환 정책과
맞물려 Rishon Le Zion(1882) 지역에 Baron
Edmon de Rothschild(France)에 의해
농업정착민들을 활용한 Vineyard를 조성하면서
부터 Wine 산업이 활기를 띄기 시작하였다고 전해진다.
때문에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면서 당연히
French Wine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French Wine의
경우 가장 먼저 Grape Vineyard의 명칭과 위치, 지리적
특성에 대해 먼저 접근을 해야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짜증스럽지만∼통상적으로
Vineyard의 전통적인 가치성,
역사적 배경과 기후, 토질에 관한
학습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그 이유는 위에 열거한 내용들과 이 후에
기술될 내용들에 의해 증명될 것이다. 참고적으로
"Roman Wine"은 White Wine이 주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하며, 이러한 사실은 이미 확인되었다.
중세 시대 Venice & Genova에서 Sweet Wine을
만들어 음용하였고 또한 북 유럽 등지로 수출을 하기도
했는데 이 시기 가장 특징적인 Wine으로 오늘 날에도
White Wine 분야에서 지명도 있는 Hungary Wine
"Tokay Aszu"로 부분적으로 나마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rench Wine 등급은
이미 !! 정해져 있는 곳이
많고, 각 지역별로 사용하는
Grape Variety, 제조방법 등이
일정하게 배열된 모습을 보인다. 많은
시간이 흐르며 체계적으로 정리
되어졌다는 이유가 뒤따르기도 하지만
Label에도 고유 Variety(예외적인 지역의
Wine도 있으나∼)을 표시하지 않고,
생산지명과 등급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각∼생산지역의 특징을 파악하지
않으면 그 곳에서 생산되는 Wine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게 된다는 말과 일치한다.


Why !! Wine의
보편적인 특수성이기도
하고, 개별적으로 Vineyard
특성이나 역사, 전통적인 가치를
떠나서는 French Wine의 존재 가치와
희소성이 불분명해지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는 Marseille
근처의 Focea지역의 식민지를
통해 Grape Tree가 처음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으나, Grape 재배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Roma
(기원전 1 C)에 의해Celt=Gallia(France)
가 정복되면서부터 라고 하며 핵심적으로
세계 Wine 산업에서 France가 전통적인 강국이지만
역사적인 배경을 보면 Italy가 앞서서 유럽의
Wine 산업을 이끌어 왔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7 C-18 C Renaissance
(문예부흥) 물결이 넘실되던
유럽의 분위기 !! 가장 극적으로
"식 생활 문화"를 선도적으로 주도
하였던 곳은 Italy이다. 이미 !! 시기적으로
Italy는 식문화에 관한 기본적이고
고급스런 Mind를 갖추어가고 있던 때였고
일상적인 생활자체, 의식 수준이 높아 유럽에서
정치, 경제, 문화 각 분야에서 일방적으로
탁월하고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던 때였다.
이때∼Medici 가문이라고
당시 주도적인 위치에서 사회
전반에서 엄청난 영향력 가지고
있었던 가문이 있었는데 이곳에서
장차 수녀들에 성장하는 Medici라는
이름의 여자 아이가 태어나게 된다.
14세이던 어느 날 France 왕위 계승자와
결혼(1533)하게 되고, 이렇게 해서 가깝고도
먼 이웃 France에 출가한 Catherine de
Medici는 상대적으로 외롭고 힘든 Paris 생활을
하게 되는데 고향 Italy에 대한 회한과 왕족과
귀족 사회로 부터의 괄시로 인해 힘겨운 나날을...
보내면서 한편으로는 손으로 건더기를 건져 먹거나
빵 조각으로 국물을 찍어 먹는 것과 같은 미개한
France의 식문화를 접하게 되고, 충격을 받게 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개인적으로는 삶의 의욕을 갖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Catherine de Medici은
자식의 섭정을 하면서 왕위
쟁탈전이라는 덫에 발목을 잡혀
역사 속에서는 독한 여자 혹은 마녀로까지
비춰지며 France를 피로 얼룩지게
하였다는 사실만 인지한다면 당연히 평가
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하지만 France 식문화
발전에 헌신적인 공헌을 하였다는 측면은
황당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하다.
Catherine는 Italy에서 Master Chef를 초빙하고
Sherbet, Macaron, Tarts 등의 당시 !! Italian Style
Dessert를 선보이게 되며, 그들이 평생 구경도 하지 못했던
Broccoli, Artichoke, Melon 등의 농산물과 조리법을
전달하였고, 이때부터 France Table 위에 우아한 접시가
깔리게 되면서 더불어 은이나 금으로 만든 잔에 Wine을
마시게 되었고, Fork & Knife를 최초로 도입하게 사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France 식 문화에
영향을 끼친 것은 끝이 아니었는데
만찬에 Table Cloth를 깔고, Napkin을
사용하게 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이 후
우여곡절 끝에 Table Etiquette 까지 보급하는
혁신적인 여성 Catherine의 열정적인 노력은 곧 !!
성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왕실과 귀족 구성원들이
답습하려는 노력과 당시 !! 사회적인 분위기속에서
"절대적인 표준"으로 정착하게 된다는 것이다. 잘 먹고 잘살아 보세...


Italy에 앞서 식문화에 더욱 선진적인
문화 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곳은 China로...
"동방견문록"을 통해 확인되는데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어떻게...동, 서문화가 함께 공존하며,
발전해왔는지 살펴보면 이해가 빠를 듯싶다.
또한 Marco Polo 한 사람을 통해 시작된 Asian
China의 이질적인 식문화가 기능적, 혹은 합리적인 형태로
축소되어 Italy에 정착 되면서 변화(귀족적인∼)하며
토착화되어 왔다고 볼 수 있기에 유럽의...
식문화에 대한 발전 경로를 인지하고 접근할 개연성이 있다.
.
.
.
Italy가 하나의 왕국으로
통일(1870)되기 전 / 장화 모양의
반도 끝 남부와 Sicilia는 Spain
영토이었으며, 교황령은 반도의 한복판의
Adriatic Sea와 면한 곳에 위치하였고,
북부지역은 독립국들이었으나 France 제후
들의 침입으로 자치권을 상실한 소국들로 북적이던
곳이었다. 당시... 이러한 도시국가들은 독자적인
문화와 언어, 왕족이나 귀족 등은 사설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하물며, 교황도 자신의
군대를 독자적으로 운영하며
세속의 군주들과 경쟁하며 충돌
하던 시기로 보여 진다. 이러한 때
Medici라는 걸출한 지배 가문은 여러...
세력과 통혼(정략적 결혼)을 함으로써 결속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였을 것이다.
(권력자들 사이에서 동맹관계 성립)이때 Medici
가문의 여인들은 어떤 나라의 수도에서 다른 수도로∼
혹은 다른 국가의 궁정으로 시집가며 특권층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인 Food & Chocolate가 함께
전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실제로 문화적인 충격을 주기도 한다.
Chocolate의 경우
Baroque 시대 유럽의
귀족들의 저택, 별장, 화려한
장식이 있던 궁정 사교계(Salon &
Academy) 등에서 가장 많이 애용
되던 Drink에 포함된다. 종교 전쟁이...
한창 진행되던 시기 유럽 전체가 Catholic과
Protestant / 종교 개혁파와 반 종교
개력파의 격렬한 대립으로 동요하던 때이기도 하였다.
.
.
.
파리가 앉지 못하도록
Meat를 보호망으로 싸두면
구대기가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로
Meat가 부패할 때 나타나는 구더기는
자연발생적인 것이 아니라 Meat 위에 파리가
알을 낳음으로써 생겨 나는 것임을 증명
되었던 시기이다. 이것은 Aristoteles의 자연...
발생설 / 생물이 모체 없이 무생물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설을 실험을 통해 오류를 입증한 것으로 Louis-
Pasteur의 연구 성과의 원형이 되어 준다. ...Francesco Redi
Francesco Redi
Toscana 대공의 영지에
있었던 Grape Vineyard에서
만들어지는 Wine에 대해 극찬하기도
하였다. 한편으로는 Chocolate를
좋아하던 Toscana 대공을 위해 Jasmine-
Chocolate를 개발하기도 하였다. 이것으로...
당시 Wine 보다는 Chocolate Drink
지배계층 상층부에 있었다는 사실이 증명되는 것이다.
.
.
.



다시 !! 돌아와서∼French
Wine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
들여야 하는 문제는 궁극적으로...
French Cuisine을 얼마나 이해하는데서
출발되어지며, 환상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성립된다. 단순히 먹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 French Cuisine은 복잡한 원칙과
조리법에 기초하고 있다. White Table Cloth와 사치스런
장식물이 있는 정교한 Interior Design, Fork & Knife,
Spoon을 어느 것부터 사용해야 하는지 순서
등에 차등적 의미를 부여하는 관습과 엄격한 위계질서가
존재하는 직원 구성, 전문적인 교육을 이수한
Sommelier 등은 French Cuisine을 접하게 되면서
마주치게 되는 일반적인 모습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현대적인 감각을 가지고 있는 Italian Dish는
상당히 편하고 별다른 지식이 없어도 쉽게 접근이 가능해진다.
.
.
.
반면에 격식을 차리지
않아도∼된다는 의미로...
보다 더 !! 대중적이기 때문에
자주 접하게 되고, Italian Wine은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음용해
볼 수 있다는 기회가 자연스럽게
주어진다는 사실이 주목되는데 실제로
지금에 와서는 Wine 수출 물량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지만 어찌되었던 Catherine de Medici
으로 부터 시작된 혁명적인 "식문화"는 전통적인
감각을 중요시 하는 France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은 사실이며...
Wine을 많이 마셔 봤던 사람만이
Wine에 대해 알 수 있으며 말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사실은 개인차가 존재하며...
만고불변의 원칙이다. 그 이 유는 사람마다 입안의
점액질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의학적으로
어떻게 규명되는지 그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Wine의 "맛과 향"은 마시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살아가는 환경, 사람의 성격이 다르듯이 Wine도 시간,
장소, 품종, Vintage가 동일하더라도 전혀 다른 느낌을 준다는
사실은 이미∼확인된 사실이다. 또한 가장 기본적으로
갖추어지는 논리적인 관점을 만들어준다. 그렇기에 정성을 다해
경작된 후 세심한 손길에 의해 발효과정을 거치며 완성된 French Wine은
진정한 장인정신으로 만들어진 물질이라는 뜻이 상당 부분 포함되게 된다는 의미이다.
Food & Wine
밀접한 관계 그리고...
양자 간의 상호 작용이
만들어내는 지역적 특성
차이에 의한 특별한 품질 적
요소 !! 따라서 French Wine의
탁월한 경쟁력은 이런 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방대한
Wine List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Style을 표준으로 이끌러 오는 것 또한
France이며 시대적 식문화의 표준이 되어 주고 있다.
.
.
.
Dry White Wine ...Montrachet
Sweet White Wine ...Sauternes
Red Wine ...Bordeaux
Rose Wine ...Tavel
Champagne ...Champagne∼
.
.
.



Phylloxera
한때 "병충해"에 의해
위기를 겪기도 하였으나 이 후
각종 법령, 제도들이 정리되면서 가장
중요한 Wine 최고의 생산지로 자리
잡게 되었고, 엄청난 규모의 재배 면적이
주는 놀라움은 현실 속에서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재배 총면적 123만ha, 연간 생산량 600만 h liter
전체적으로 보면 ∼Red Wine 65%, White Wine 35%
비율로 생산된다고 하는데 역시 !! Bordeaux 지방 단일...
면적만 보더라도 실로 엄청나며, 이것은 제2의 Wine
생산지 Bourgogne 지방의 5배 현재 Chile, South Africa의
재배 면적을 모두 합친 것과 같은 대등한 규모라고 한다. →12만 2726 ha
"알맞은 시간에
적당한 양의 Wine을
마시면 인류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할 수 있다. Hippokrates
다양한 국민적인 특성
만큼이나 Wine 또한 다양하게
존재하며, 특별하다. 아침, 점심, 저녁
어느 때라도 사람이 사는 곳 어디를 가더라도
Wine Bottle이 발견되고 있는 곳이
French이며 그렇기에 France = Wine이라는
관계 설정이 자연스럽게 머리에 그려지는 것은 현실적
상황으로서 당연하게 느껴진다. 세계 최대 Wine 소비국 France !!
역사적으로 선조들의
탁월한 양조 기술을 물려받은
France이지만 Roman Empire로 부터
전달되어진 Grape Varieties들과 진보적인
양조 기술은 피지배자 입장에서 거부할 수없는
매혹적인 유혹으로 다가서며, 직접적으로
작용하고 수용되면서 Wine이 주는 향과 맛에 취해
스스로 집요하게 물고 늘어질 수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는
예외적으로∼ 완벽을 추구하는 물질 Wine을 상당한
수준까지 끌어 올리게 된다. 물론 !! 오염된 식수를 대체하여
Wine을 음용하였다고 하지만 당시 !! Beer도 양산체계를
갖고 있었다는 사실 앞에서 설득력을 잃게 되며 확인할 길은 없고,
강조 하고 싶은 것은 지금처럼 훌륭한 Wine을 제조하게 된
배경에는 "위대한 양조가"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는Latin Alphabet /
Cervoise(세르보아즈)라고 불리던 그들의 선조 Gallia 인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햇빛과 비, 바람, 토양의
자연적인 조건들과 열매 따는
시기, 숙성기간을 거쳐 까다롭게 완성
되는 Wine을 흔희 "마법의 물"이라고 부르는
것은 인간들의 힘만으로 좋은 Wine을
만들 수 없기에 상징적으로 이르는 말인데
France의 축제 문화도 Grape & Wine을 통해...
이루어질 정도로 French Wine은 문화 인간 친화적이며,
역사, 민족적인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표면적으로 Bordeaux &
Bourgogne 지방에 많은 수의 Chateau & Domaine 분포되어
있는데 성곽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어 관광 자원으로 손색이 없다.
더구나 위대한 Chef ...
손끝에서 나오는 French
Cuisine는 치명적인 유혹으로
다가선다. 따라서 임도 보고 뽕도
따는 형국이라 아니할 수 없을 듯싶다.
Grape가 재배되기 시작하고, Wine을 생산해
상품화 시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고,
수출을 하는 국가들 중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부로부터 가장 많은 지원이 이루어지고,
관심이 커다란 국가 역시 France이며, 세계적으로
Wine 생산에 필요한 표준적인 위치해 있다.
정부차원에서 "원산지 통제, 품질 기준"이 주도적으로
만들어지고 까다롭고 세밀한 절차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French Wine은 몇 가지 허점이 있으나∼그 과정이
경쟁국에 의해 수없이 Bench Marking 되고 있을 정도로 완벽해 보인다.
아울러 오랜 역사와 전통,
세계 최고의 품질 그리고 명성,
자국 Wine에 대한 자부심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고 기본적으로
Wine에 대한 "국민적인 지식수준"도 상당한
수준에 근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Naturel Alcohol, Glycerol,
Tartaric Acid(주석산), Citric Acid(구연산),
Lactic Acid(젖산) & Poly-Phenol 및 1,000여 종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한 Wine이 가진 건강상의
효능은 입증되었고, 현실화 되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Wine을 생산하는
행위는 자연적인 요소에
의해서이며, 이것을 제한하는
조건(법률과 규정)에 의해서이다.
(Grape Varieties, Wine Maker, Terroir)
AOC System
Grape를 재배하고,
Wine을 생산하며, 마지막으로
Marketing 과정을 다루는
포괄적인 것이다. 또한 더불어 국립
원산지 명칭통제 기구 / INAO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France∼
전국에 걸쳐 모든 Vineyard는 허용된
Grape Variety, 최대 생산 수율 등의
동일한 Category를 대상으로 제정된 규제
적용을 받지만 그 내용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Bordeaux에서 적용
된 것은 Bourgogne에
적용된 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모든 지역에 한 가지 규제 속에
묶여 있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Bordeaux에서 Red Wine을 만들 때
Cabernet Sauvignon, Merlot, Cabernet
Franc이 주종이지만 Bourgogne에서는
Pinot Noir & Gamay 정도가 허용된다는 점이다.
또한 특정 지역 내에서도 상세한 내용으로
규제하게 되는데 이러한 예는 Bourgogne에서
찾아볼 수 있다. Corton, Volnay의 경우 다른 내용의
규정이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내용은 Volnay AOC의
Wine은 최저 10.5 %의 Alcohol 함량을 유지하면
되지만 Corton AOC에서는 하한선이 11.5 %이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고유 Variety을
얼마든지 다른 지역으로 이동
할 수는 있으나 Terroir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France 법률은 Wine을 지칭할 때
Grape Variety의 사용은 금지하고, 그 대신...
지역 명칭을 사용하도록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하며, 일부 예외 규정도 있는데 그것은
"Alsace Wine"이다. Alsace Wine은 전통적으로...
Riseling, Sylvaner, Gewurztraminer 등으로 표기해 왔다.
따라서 French Wine
AOC System(법률)에 의해
규제를 받는데 "품질 관리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고 할 수 있다.
1900 → 1935에 확립된 가치적 수단으로
"원산지 명칭의 통제"를 원칙으로 하는 법령이며,
한마디로 Grape 재배 장소의 위치와 명칭을
관리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성격 상
전통적인 High Class Premium Wine의 명성을
보호하는 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충족시키며
품질 유지에 핵심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Hermitage Wine
Hermitage에 존재하는 특유의
Terroir와 필수∼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Only !! Hermitage에서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지역 Wine Maker가
Hermitage 지역에서 재배하는 Syrah를 그들의
Vineyard에 심어봤자 결코 Hermitage Wine을 만들어 낼 수 없다는 것.
재배 지역의 지리적인 한계와
그 명칭을 정하고, 사용하는 품종,
재배방법, 단위면적 당 수확량의 제한,
그리고 제조방법과 Alcohol
농도에 이르기까지 최소한의 규정을 정한 것



원산지를 통제하여 각 지방
고유의 전통과 명예를 지닌 Wine을
생산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여, French
Wine의 품질과 명성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부여하기 때문인지 모르지만
일반적으로 작은 지역단위의 AOC Wine일수록
개성이 강한 "High Class Premium Wine"로
인정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낯선 지역이라 하더라도 Bordeaux & Bourgogne
Wine 보다 높게 인정받을 수 있는 문제로 French
Wine의 경우 Vineyard의 명칭과 그 지리적인 위치,
특징을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Wine의"품질을
결정하는 제도가 아니라 보호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겠다.
지리적인 한계 행정
구역을 떠나서 토양과 기후
그리고 전통적인 명성을
고려하여 따로 정한 것, 행정
구역과 관계없이 Grape 재배 지역을
나누어 그 경계를 세분화하여 명칭을 정한 것.
지명을 도용하는
행위나, 반대로 유명한
Vineyard 지역 다른 곳에서
Grape를 구입하여 Wine을 제조
하는 행위를 통제하여, 정직한 생산자를
보호하고 소비자에게 올바른 Wine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French Wine / AOC System
Appellation d’Origine Contrôlée / AOC
고 품질의 Grape 생산량,
Alcohol 함량, 지역을 지정 특정한
작은 지역일수록 High Class Premium-
Wine이 생산되는데, 약 15%가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Appellation Pauillac Controlee
French Bordeaux 지방의
Pauillac에서 AOC 등급을 받고 생산
되는 Wine을 뜻하며 D’Origine 자리에 생산지가 들어간다.
Vins Délimités de Qualité Supérieure / VDQS
AOC 보다 등급 아래이며,
(승격될 수도 있다.)1949 제정,
VDQS 등급을 지정 받기 위해 생산지역,
Grape Variety, Alcohol 함유량, 제조방법 등의
기준 통과 필요 !! 전체 Wine 생산량의 2 %를 차지한다.
Vins de Pays
"Country Wine"이라고도
불리며 광범위한 지역에서 생산
되고 있으며, 대개는 수출용이기 때문에
Label에는 Grape 품종 표기를 하기도 한다.
Vins de Table / Table Wine
이라는 발이 여기서
비롯되었을 정도로 대중화
된 Wine으로 Still Wine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이것은 질보다 양이
많은∼, 값싼 Jug Wine에 비유되기도 한다.
Label이 따로∼ 존재
하지 않으며, 생산연도, 생산지,
Variety이 표기되지 않는다. French
Wine의 생산량 대비 35%를 차지하며 100 % Blending Wine.



Bourgogne = Burgundy
Grand Cru → Premier Cru → Village Wine
생산자가 한 군데에서 밭... 하나를
통째로 소유하고 있는 경우 Label Monopole 표기
어느 나라∼어느 지역에서
어떤 해에 수확한 Grape로 어떻게
Wine을 제조 되었는지가 성패
열쇠 !! 그래서 Vintage가 더욱 중요하다.
French Wine Label
Wine Name & Maker Name
동일한 경우가 많은데 Grape Variety을
강조한 New World Wine과는 다른 뜻으로 생산
지역이 강조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지역별로 사용되는 Grape Varieties에
대한 규정들이 따로 있기 때문인데 Bordeaux Red Wine의
경우 5가지 Variety이 혼합되어 만들어지고 있으며,
Bourgogne Red Wine의 경우 Pinot Noir 한 가지로만
만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지역별 특성을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며, 품질 ...등급은 하나의 직위와도 같아서 중요시되기도 한다.


01. Bordeaux
02. Bourgogne / Burgundy
03. Champagne
04. Rhone
05. Alsace
06. Loire
07. Languedoc / Roussillon
.
.
.
High Class Premium Wines / Top Ten French
2006 Bourgogne Chardonnay
2005 Château Barreyres, Haut-Médoc, Cru Bourgeois
2006 Bourgogne Pinot Noir
2007 Domaine Josmeyer Alsace Pinot Blanc “Mise du Printemps”
2005 Château Mont-Redon, Côtes-du-Rhône Rouge
2006 Château Puysserguier, Saint Chinian Blanc
2007 Côté Tariquet, Côtes de Gascogne
2005 Château Roques Mauriac "Classic" Bordeaux Rosé
2005 Irouléguy, Domaine Ilarria,"Cuvée Bixinto" / Laurent Perrier NV Brut Ultra Champagne
.
.
.



.
.
.
.
.
.
.


# by | 2008/06/23 09:03 | Zoom In Wine & Food | 트랙백 | 핑백(1)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 시도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징세 제도 확립, 부국강병 정책 실현, 제후들의 봉기 억제(사설군대 불허)Next Story ...French Wine...Bhttp://redbeans.egloos.com/1946101...Bourgogne Cote d'OrBordeaux & BourgogneSaint EmilionWine을 이야기할 때 절대 빠질 수 없는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