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terranean Sea ...In Genova & Venezia-b

Republic Into the Roman Empire
.
.
.
지중해가 Christianity의 수중에 있을 때 동방 /
서방의 상업적 교류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동방
으로의 항해가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Syria, Egypt
동방 항해의 중심지 이었지만 이곳이 Islam에게 가장 먼저
정복당한다. 그렇지만 그곳의 모든 경제 활동이 종식
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상당한 혼란이 뒤따랐고, 많은 Syria
People 들이 서방으로 이주하였지만 경제 조직은 붕괴되지 않았다.
Spices는 여전히 수입되었고, Papyrus도 여전히 제조되었으며,
항구에서의 교역은 여전히 활발하였다. 이것은 Arab People들이
Christian 상인들에게 세금을 지불하면 경제 활동에 간섭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일이다. 따라서 상업 활동은 지속되었다.
Islam의  "정복 활동"으로 열린 새로운 Caspie, Baltic Sea를 연결하는...
교역로를 중심으로 상업이 전개되었는데 이러한 시기 Africa는(643-708)
지속적인 약탈로 상업 활동이 종식되어 있던 상황이었고, Islam의
Spain 정복(711)과 그 직 후 Provence 해안에서의 불안하였던 상황으로
서-지중해에서 해상 교역은 거의 가능성마저 상실되어 간다. 동방으로의 항해는
중단(650)되었고 8 C 초기가 되면 완전히 사라진다. Byzantine 해안을
따라 행해지던 교역을 제외하면 더 이상 지중해에서는 어떤 교역도 없었던 셈이다.

이후 지중해는 Saracen의 해적들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형편에 놓이게 된다. 9 C 그들은 지중해 섬들을 점령
하였는데 항구를 파괴하였고, 모든 곳에서 약탈이 지속되었다.
그리하여 이전의 동부 지중해(Levant)와 서방 사이에 행해지던 교역의
중심지 Marseille는 텅 비어 있게 된다. 어떻게 서방이 저항할 수
있었겠는가 !! Franks 왕국은 함대를 보유하지 않았고, Visigoth의
함대는 파괴되었다. Christian들은 막강한 해군력을 보유한
Islam에 대항하여 어떠한 시도도 할 수 없었다. → 서-지중해 폐쇄 = 서유럽
Syria 혹은 "동방의 상인"들이 지속적으로 활동하였음을 보여주는
사료는 없다. 게다가 Islam 침공 이전에 수입되었던 상품들이 8 C부터
더 이상 Gallia 등지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Papyrus 가 가장 먼저 사라지게 되었고,
당시 일부 작품에 쓰여 졌던 것들은 6-7 C의 것들이었다. → 양피지 사용
즉 !! Gallia에서 Papyrus 가 사라진 것은 상업이 쇠퇴하고 이어서 사라졌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Spices는 지중해에서 상업이 재개된 것은 12 C가 되어서야
가능해지게 되었다. Gaza 지방의 Wine도 마찬가지로 Olive Oil
또한 더 이상 Africa에서 유입되지 않았다. 당시 사용되었던 Olive Oil는
Provence에서 생산된 것으로  Silk도 더 이상 찾아 볼 수 없게 되어서
Charlemagne 조차 소박한 의복을 걸쳤다고 한다. 그의 의복은...
Merovingian Dynasty 시대의 국왕들의 화려한 의복에 비하면 대조를
이루는 것이었다. 동방으로 수입이 금지되었거나 어려웠던 상황으로 추정된다.
한 가지 눈에 띄는 사실은 "Gold"이 점차로 드물어졌다는 사실인데 8 C
Merovingian Dynasty에서 이러한 점을 볼 수 있다. 금화는 "은과 합금"되어
주조되었고, "은"의 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Gold"이 동방으로부터 유입
되지 않았기 때문인데"Gallia"의 경우 금화가 드물어져 더 이상 통화로 사용될 수 없었다.
따라서 Pippin & Charlemagne 시대에는 은화(Denarius)만 주조되었다는
사실이다. 금화의 "유통은 상업의 결과"이다. 그러한 이유로 상업이 존속되었던
South-Italy에서는 여전히 금화가 유통되고 있었다는 사실이 그것을 증명해준다. → Venezia & Genova

한 가지 특별한 사실은 당시 상업에 종사
하던 주요 인물들에 관한 것으로 Islam 상인들이
대체로 지배국 내에서 상업 활동에 전념한 반면에 Syria,
Africa, Spain People는 찾아볼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Syria
People들은 Italy 쪽으로 이주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며, 그나마...
과거와 같은 빈번한 상업 활동을 지속하였던 사람들은 역시 !! 
Jews 들이었다. 이들이 사업으로 살아가던 유일한 계층으로... 분류된다.
.
.
.
Doge's Palace
San Marco...
Turning Point
양쯔 강(揚子江)에서 조금만 내려가면 해안 가까운 곳에
Hangzhou(항저우)가 위치한다. 항저우는 South-China을 지배
하던 남송(南宋)의 중심지역으로 1268년 당시에는 Mongol People
들에게 아직 정복되지 않고 있었다. Venezia와 마찬가지로 항저우도
석호 위에 서 있었고, 무수한 운하에 의해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곳은 주변지역을 제외하고도 둘레가 160 Km에 이르렀으며,
곳곳에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었다. 항저우에는 12개의 커다란 성문이
있었는데 성문 안에 있던 12개의 주거지역은 모두 서방의 Venezia
보다는 규모면에서 압도하였다. 또한 폭이 60 m에 이르던 간선도로는
도시를 완전하게 관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도로의 매 6.4 km 지점마다
커다란 관장이 있었고, 그 양옆에는 주택, 정원, 궁전, 12개의 대규모
동업 조합에 의해 통제되는 직인들의 공방이 늘어서 있었다고 한다. 간선도로와
나란히 커다란 운하가 뻗어 있었고, 그 주변에는 India와의 무역에 종사하던
상인들이 사용하는 창고들이 즐비하였다. 수로양안에는 돌다리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도시의 서쪽으로는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호수 "시후(西湖)"가 있었다.     

Venezia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항저우 사람들은 이곳에
와서 배를 타고 물놀이를 즐겼다. 정크선(바닥이 편평한 중국의
범선)은 38 km 떨어진 항구에 입항한 뒤에 강을 따라 북상해 도시로
진입하였는데 성의 항구이기도 한 Zayton(자이톤, 샤먼)에 집결한
다수의 선박이 모였다. 해마다 Zayton 항에 들어오는 Pepper의 양은
Levant 지방의 항구를 통해 Christianity 권역에 유입 되는 양의 100 배가
넘었다고 알려졌다. 그곳에는 Indochina & India 제도에서 Spice, Aloe,
White Sandalwood(백 단 향), Nutmeg(육 두 구), 감송 향(甘松香), Ebony
(흑단)을 비롯하여 헤아릴 수 없는 귀한 재화가 흘러 들어왔다. 이밖에도
Turk-Osman-Musk(사향), Mansi-Silk 꾸러미를 실은 대형 정크 선은 Spice의
냄새를 머금은 미풍을 타고 East-India 제도의 바다를 지나 Ceylon(스리랑카)까지 갔다. 

Malabar& India 남부의 커다란 상업 도시에서 온
상인들은 Ceylon에서 자기 화물을 선적하여 Arabia 상인
들에게 팔았고, Arabia 상인들은 다시 Levant 항구에서 그것을
Venezia 사람들에게 팔았다. 이러한 규모는 유럽인들이 보기에
그저 놀라움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였다. 동방의 전체가 그들의 교역
장소가 되었으며, Venezia 어부들이 진흙, 오두막이 몇 채 들어설
무렵 항저우의  "부와 문명"은 이미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1268년만
해도 항저우 사람들이 Venezia의 존재를 알기에는 양측의 거리가 너무 멀었다.
또한 Venezia 사람들도 동방의 항저우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던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그해 석호의 도시에는 Guild의 행진을 지켜 본 소년이
있었는데 그가 바로 Venezia & Hangzhou를 이어주는 운명을 타고난
Marco Polo이었다. 14세 소년 Marco Polo는 선원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서 끝없는 호기심을 갖게 되었으며, 그가 가장 재미있어 하며 들었던
이야기가 바로 Mongol People 들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무렵 Mongol People
들은 Eurasia 세계에서 막강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그들은 베이징(北京)을 근거지로 삼아 North-China, Korean Peninsula,
Manchuria, Tibet을 지배하고 있었고, Indochina & Java로부터 조공을 받고...
있었으며, Central Asia-Turkistan, Afghanistan에 대해서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Musk Grains
Caravane Marco Polo
Kipchak Khanate의 경우 Kipchak를 포함한 Russia의
대부분 지역과 Siberia 일부를 점유하였는데, Persia,
Armenia, Gruziya는 물론이고, Asia Minor의 일부까지
지배한다. 위대한 "몽케 칸"이 1259년 사망했을 때 Mongol
Empire의 영토는 Eurasia 전체를 다스렸으며, Yellow River→
Danube River 까지 뻗어 있었고, 그처럼 광대한 영토를 모함한
Empire는 인류 역사상 유례가 없었으며, 그 후로도 근세에 Russia
Empire가 성립되기 전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1268년에 이르면서
Mongol Empire는 China(원 제국), Central Asia(차가타이 칸-국),
Russia(킵차크 칸-국), Persia(일 칸-국)으로 나눠지지만 여전히
하나의 민족에 의해 지배되었고, Mongol People에 대한 서방의 태도는
흥미롭기만 하다. 처음에 그들은 Mongol People 들이 하나님의 새로운...
징벌로 여기며 "아틸라와 훈족"이 다시 나타난 줄 알고 공포에 떨었다.

파죽지세로 폴란드를 유린하였고,  Hungary를 초토화시켰으며, 금명간에
서방을 완전히 제압할 것처럼 보였으나 갑자기 공세가 멈춰지며, 소강상태에
접어들면서 서방은 점차로 초기의 공포감에서 벗어나 이제는 Mongol People
들과 동맹을 맺었으면 하는 희망을 갖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동맹이 Islam Army를 깨부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여겨지기 시작하였다는 사실이다.

어찌되었든지 앞서 이야기는 여기서 마치고, 다시 초심으로
돌아와 이어가도록 하겠다. 앞서 설명에서 Marco Polo는
언제나 Mongol People들에 대해 많은 궁금증을 갖고 있었다고
하였다. 일단 그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그의 부친과 삼촌이
Mongol Empire로 간 뒤 소식이 끊겨졌던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
하였다는 것으로 그의 부친과 삼촌은 Constantinople과 교역을 하던
상인으로 Black Sea 북쪽에 위치한 Kipchak Khanate와 교역을
목적으로 Crimean Peninsula에 도달하였다. 보석상이었던 “폴로 형제”는
값비싼 보석을 말에 가득 싣고, Mongol-Khan과 거래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돌아오지 않는다. 그래서 Marco Polo는 부두에서
부친과 삼촌을 기다리며 선원들의 소매 자락을 잡고, 거친 기마병과
말 젖술, 주술사, 가축의 무리에 대하여 물었던 것이다. 바로 이러한 때
반대편에서 2명의 Polo는 낙타의 대상과 함께 지친 몸을 이끌고, Central Asia
고원을 서서히 통과하여 많은 시장이 들어서는 황금의 Samarkand에 접근하고 있었다.

점차로 서방에 가까워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듬해 그들은
Acre에 도착(1269)하고 있었으며, 거기서 Venezia로 향하는
배를 타고 마침내 집에 돌아오게 된다. 귀향이 늦어졌던 것은
"킵차크 칸-국"에 머물러 있던 중 "일 칸-국"과 전쟁이 발발하여
그들의 귀로가 차단되었던 것인데 그 후 그들은 "차가타이 칸-국"을
방문하기도 하였고, Constantinople로 돌아올 때에는 사람들의
왕래가 뜸한 길을 택하여 가축 외에는 아무 것도 없는 평원을 힘겹게
가로질러 마침내 고귀한 도시 Bukhara에 도착하였으며, 3년 동안 머물게 된다.

Kashgar Yak
Khotan ...Melikawat Ruinas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Kublai Khan에게 돌아가던
사절 일행을 만나게 되었고, 함께 동행을 요구한 사절단의
요구로 그들은 Central Asia를 가로질러 1년 동안 여행한 끝에
Khubilai가 있는 곳에 도착하게 되었다. 대-칸은 지적인
두 명의 이방인들을 귀국 시키면서 자신의 뜻을 교황에게 전달
하는 임무를 맡겼다. 그는 Mongol People들의 교육을 담당할 100명의
학자와 Jerusalem에 있는 "예수의 무덤"을 밝히는 성유 일부를 보내
달라고 교황에게 요청해줄 것을 당부하였으며, 그들에게 "황금의 명패"'를 하사하였다.
 
바로 이것이 일종의 통행증과 같은 효력을 같은
것으로 대-칸의 영토 전역에서 환대를 받았으며, 도시에서
도시로 여행할 때 편의를 제공 받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Polo 형제는 고향으로 향하는 여정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혹독한
추위, 눈, 얼음, 홍수 등의 위험과 난관 때문에 여행은 지연되게 되었다.
그리하여 3년이 지난 후... Acre에 도착에 비로써 도착한 것이다.
그러나 교황은 1년 전에 사망하였고, 어떤 연유인지 새로운 교황 선출이
늦어지면서 첫 번째 여행을 마친 "폴로 형제"는 Venezia로 돌아오게 된 것이다.

Polo Family(마르코 폴로 대동)의 두 번째 여행은
출발부터 난관에 봉착되었다. Armenia에 전란이 발생
하여 동행한  Dominic 수도사들이 여행을 포기하고 Knight
Templar(템플 기사단)의 호위 속에 돌아간 것이다. 그렇지만 
Polo Family는 포기하지 않고, Turkmenistan을 통과하고 Ararat
Mountain
을 지났으며, Baku(바쿠)의 유전과 광대한 Caspie Sea에
대해서는 처음으로 알게 된다. Mosul & Baghdad를 지나고,
"문직의 산지"이다. 보물을 운반하는 대상들의 집결지이기도 한
Persia를 거쳐서 Persia Gulf 있는 Hormuz에 당도하였다. 이러한 항구는
India에서 오는 "향신료, 약재, 향 목, 보석,금사, 상아" 따위를 가득
싣고 오는 배들이 입항하였다. 그러나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여기서
일행들은 방향을 바꿔 육로를 통해 여행하기 시작하였다. 이 후 "게즈만의 소금
사막"을 종단하여 Bactra = Balkh & Khorasan을 지나고 Badakhshan에 이르렀다.

1년 남짓 머물게 된 후 Oxus River 상류를 거슬러
오늘날 세계의 지붕이라고 하는 Pamir Plateau에 올랐다.
그 후 1838년 다시 방문하기 까지 Pamir Plateau에 대해 기록을
남긴 여행자는 아무도 없었다. 여기서부터 그들은 Kashgar(카슈가르)
거쳐 비취의 산지 Khotan에 다다랐으며, 이들 지역에도 1860년까지
방문자가 없었다. 일행은 발길을 재촉하여 Lop Nor(로프노르)
호수 근처 까지 갔는데 이곳 역시 1871년에 Russia의 탐험가가 도착하기 까지
아무도 찾지 않았다. 이 후 Gobi Desert를 건너는 30일 간의 고통스런
여정에 올랐으며, 마침내 그들은 중국 서북단 Tangut(간쑤 성)에 무사히 도착
하였다. 그곳에서 Mongolia Steppe 지역을  가로질러 국경 근처 까지 다가서자
대-칸이 보낸 사람들이 마중 나와 있었다. 그들은 대-칸의 명령에 따라 40일
이나 걸려 그곳 까지 폴로 일행을 영접하러 왔던 것이다. 1275년 05월 그들은 3년 반의
여행 끝에 드디어 대-칸이 있는 곳에 당도하였다. 대-칸과 해후 / 성유와 교황의 친서 전달 
     
Marco Polo는 Asia의 "경도" 전체를 횡단하는 길을 최초로
통과한 여행자이었다. 이렇게 해서 Marco Polo가 갖고 온 지식을
유럽에 전해졌고, 그의 경험에 의해 동방과의 연결이 필요하다는 점이
명백해 졌고 이 후 동서양의 접촉은 빈번해 졌다. 상인과 선교사들은 육로
해로를 통해 동방의 항저우로 여행했으며, 교회와 수도사들의 집이
중국의 일부로 도시에 건설되었다. 베이징(北京)에 있던 대-칸의 귀를
즐겁게 하던 기독교 교회의 종소리, 상인들이 안심하고 통과하던 Central Asia의
기나긴 길, 항저우 거리를 활보하던 다수의 베네치아인들, 13-14 초기 혼미한
시대라고 멸시하던 중세시대 이야기이다. 그런데도 안전하였다. 이 말은 Columbus,
그리고 이름도 거창한 발견의 시대의 "껍질"을 약간 벗겨낸다. 그러나 14 C
중엽에 이르자 모든 것이 변했다. 더 이상 교역로는 안전하지 않았고, 수도사들은
Zayton에서 미사를 드릴 수가 없었다. Mongol Empire는 붕괴되었고, China의 새로운
지배자들은 과거의"배외 정책"으로 돌아갔다. 더욱이 Islam에 의해 Central Asia
전역이 정복되어 East-Asia와 서방의 교류를 막는 불관용과 증오의 거대한 성벽이 지어진다.

그것은 한 때 "흉노(匈奴)족"을 방어하기에 만든 만리장성(萬里長城)
보다 더 견고하였다. 이 후 Marco Polo의 놀라운 경험과 하나의 전설은
여행자들의 이야기 거리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위대한 모험가의 일생은
끝나지 않았다. 그가 사망한지 1 C 반이 지날 즈음 Genova의 한 선장이
새로 인쇄된 책을 정독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그 책을 사서 돌려가며 읽혀지게
되었고 그 책은 Latin Alphabet로 번역된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이었다.
그는 그것을 열정적으로 읽으며 무려 70 Page에 이르는 여백에 자신의 의견을
적어 놓는다. 때로는 거대한 항구와 황금 지붕을 씌운 "지 팡 구의 궁전"이야기를
되풀이해서 읽기도 하였다. 그는 항상 어떻게 하면 그곳에 갈 수 있는 지에 대해 생각
하였으며, 당시 암흑의 장벽이 Central Asia를 고립시키고 무질서가 Persian Gulf로 가는
길을 막았다. 어느 날 그는 고개를 들고 손으로 책상을 내리치며, "나는 서쪽으로 항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바로 그Genova 선장이  Columbus이다. 그리고 15 C 그는 신대륙을 발견하였다.
Mongol Emprie Map
Silk Road ....
Eurasia....
The Great Wall of China
.
.
.
Islam 침공은 서-유럽에서 만큼 동-유럽에서도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침공 이전에 Constantinople의
황제는 Roman 황제이었다. Justinianus 황제는 여전히
지중해가 제국의 권위에 종속되어 있다고 주장하였지만 그것은
황제 만의 생각이었을 뿐이다.  일단은 Africa, Cartago
빼앗기자 Byzantium의 대 서방 정책은 Italy로 국한되었고, 이곳에서도
해안 지역에만 유지되었다. 내륙에서 Byzantium은 더 이상...
Lombards People을 제어할 수 없었는데 "비잔틴 제국"은 Sicilia,
Adriatic Sea, South Italy 도시들만을 유지하려 애썼고, 또한 Byzantium의
이러한 전초 기지들은 점차로 자치적으로 변화되어간다. Islam의 팽창은
Byzantium의 국경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Syria, Egypt, Africa 속주
들을 손쉽게 빼앗았다. 그러나 Greece의 핵심지역은 저항하였고, 이러한 저항으로
말미암아 Byzantium Empire를 그리고 유럽을 구함으로써 더불어... Christian을 구했다. 
중요한 것은 Byzantium이 이러한 저항이 가능하였던 것은 막강한 Empire
함대에 비롯되어지며 Venezia라는 범상치 않은 도시가 그 역할의 중심에 위치하였다.

Venezia의 이야기는 그 시대(12-13 C)의 "경제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한 Page를 장식하는데, Roman Empire 말기
혹은 그 이전에 세워졌고...결코 평범하지 않은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그것은 최초의 정착민들이 놀라운 지혜로 수상 도시를
건설한 역사이기도 하며, 막강한 해군력과 전략적 전투로 무역과
탐험, 예술과 건축에서 이뤄낸 찬란한 성취의 역사이다. 초기
정착민들에게 있어서 Venezia는 새와 물고기 진흙이외에는 그 어떤 것도
제공해 주지 않았다. 또한 진정한 의미의 수상 도시이고, 동방과
서방의 무역의 교차 역활이 충실하였다. 그래서 이곳에는 양 지역의
영향이 혼재된 형태로 언어, 예술, 전통 그리고 사람들에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BenjaminConstant The Entry of Mahomet II into Constantinople
Carnival of Venice
기원 후 3 C Roman Empire은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고, 거대한 영토는 효과적인 통치가
어렵게 되었다. 더구나 동방으로 부터 유입된 "유목민족"의
침략에 시달려야 하였으며, 급기야 4 C 말엽 앞서 설명되어진 것처럼
제국이 둘로 쪼개진다. West-Roman Epire은 잠시 !! Milano의
지배를 받다가 Ravenna에 의해 다스려졌고 이 후 West-Goth People의
침략을 받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Venezia는 5 C 의 Hun(Attila)을
피해 도주한 사람들이 세운 도시이다. 이 도시의 주민들은 초기에는 어업과
Salt(제염업)으로 생계를 유지하였지만 8 C 부터 상업이 발전하였다.
본토 북동부 지역에 살던 작은 집단이 Po River(포-강)과 기타 수로들이
형성한 삼각주의 일부 "석호" 지대의 습지, 작은 섬들들 사이에
피난처를 형성하고,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던 섬들 사이에 정주지를 마련하게 되었다.

Venezia의 상인들이 Charlemagne의 요청(787-791)으로
Ravenna에서 추방된 적이 있다. 그것은 Venezia 상인들이...
Charlemagne를 Lombards 왕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하였기 때문으로
Byzantium Empire와 일정한 동맹을 맺었음을 의미한다. Byzantium과
밀접한 관계는 그들에게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었으며, 또한 황제는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이 원하는 궁극적인 자치를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Charlemagne에게 접근하였을 때 Venezia와
Byzantium 사이에 불화가 발생한다. 805년 Venezia가
Charlemagne에게 사신을 보내 Venezia를 그의
"보 호 령"으로 삼아달라고 했을 때 그러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Venezia에서 발생한 당파적 갈등에서 비롯되었는데
더구나 이 시기 Venezia는 Dalmatia 해안의 소도시들에
대한 지배를 확대하고 있었고, Byzantium Empire의 반발을
두려워하고 있었다. 이 사건은 중차대한 사건이다. Charlemagne는
Venezia의 수락 즉시 Italy 왕국에 병합하였다. 배경으로
Charlemagne 제국의 해상 세력이 되어줄 기회를 만들지만...
Venezia에 함대를 파견하는 Byzantium의 발 빠른 움직임으로 좌절된다.

그 후... Charlemagne는 Byzantium과 조약을
체결하고(812) Venezia 그리고 Dalmatia 등의 도시들은
제국에 양도하였다. 이러한 조약으로 Carolingian Dynasty는
그렇게 갈망하던 바다를 양도 받은 셈이었다. 결정적으로
Venezia는 이러한 시기부터 Byzantium Empire의 안정된 궤도
속으로 진입하게 되었고, 조약은 Venezia를 잠재적인 많은 것들을
갖게 하는데 그것으로 위대한 Venezia의 미래를 보장받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조약으로 Venezia는 동방으로 팽창할 수 있었고,
더구나 Byzantium으로부터 자치가 허용되었다. 그 이유는
Islam과 경쟁을 위해서는 Venezia의 지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Venezia는 서방에서 자유롭게 상업적 교역 혜택을 부여 받게 된다.
Charlemagne가 Franks왕국 통치지역에서 교역의 권리를 인정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제 Venezia는 서방의 위협 속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
졌으며, 두려운 것이 없어졌다. 그래서 당시 경쟁 국가들을 파괴(875)
시켜 버린다. 이후부터 북부 Italy의 시장들과 항구들은 Venezia의 상업에
의존하게 된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Islam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었으며,
Byzantium 황제와 Venezia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였기 때문이다. 828년에는 황제가
Venezia 전함에 지원을 요청하였다. 그 이 후 Venezia & Islam 군 사이에
치열한 공방전이 이어졌으며 Venezia는 Adriatic Sea를 지배하였고, 그것으로써
Levant의 항로를 확보하였다. Venezia는 Islam과 싸우기도 하였으나 교역도 활발하게 하였다.

Byzantium 황제가 이미 Syria, Egypt의 Muslim 들과
교역을 금지하였지만(814-820) Venezia 상인들은 개의치 않고,
Muslim와 거래를 성사시켰다. "열 척의 배"로 구성된 선단이
Basilica di San Marco의 유물을 Venezia로 가져온 곳은 Alexandria
이었다. Venezia 교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Dalmatia 해안의 Slav
"노예 무역"이었는데 9C 중엽에는 Venezia 노예 상인들은 심지어 Christian
노예들도 Arab People 들에게 팔아치웠다. "Venezia는 항구이자 시장"이기도 하였다.

Venezia는 효과적으로 과거 Marseille의 역할에
충실하였으며, 사람들은 Venezia에서 Levant로 출항
하였고, 목재 등이 Venezia에서 Egypt로 수출되었다. 동방
으로부터 Spices, Silk를 들여왔고, 이들은 이미 기업적인
Mind로 무장되어 있었다. 종교체제와도 무관 되게 행동하였는데
이러한 Venezia는 서방과는 다른 세계이었다. Salermo,
Napoli, Gaeta, Amalfi에서도 상황은 비슷하였고 남부 연안
도시들은 많은 선박을 보유하고, Byzantium을 중심으로 통하는
동부 지중해 지역으로 항해하고 있었다. Islam과 지속적인 교역체계
속에서 진행... 그것은 879년 Sicilia를 방어하기 위해 파견된 Byzantium
제국의 제독에게 나포된 Italy 선박에서 많은 Oil이 발견되었다는 사실로 증명되었다.
San Marc ...Venezia
Alexandria Sphinx
Persian Market
.
.
.
그러나...Venezia는 효과적으로 과거 Marseille의 역할에
충실하였으며, 사람들은 Venezia에서 Levant로 출항
하였고, 목재 등이 Venezia에서 Egypt로 수출되었다. 동방
으로부터 Spices, Silk를 들여왔고, 이들은 이미 기업적인
Mind로 무장되어 있었다. 종교 체제와도 무관 되게 행동하였는데
이러한 Venezia는 확실히서방과는 다른 세계이었다. Asia의
"카라반"이 도착한 곳은 바로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곳이 Volga River
→ Baltic에 이르는 교역로가 끝나는 지점이었다. Muslim들은
Christian들과 교역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들은 Christian가 그들
항구에 드나들고 노예와 목재를 이곳으로 유입시키며 이곳의
물건을 수입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그러나 기독교들의 항해는 동방에서
찼고 South Italy 도시들은 여전히 동방과 교류하고 있었다. Byzantium 제국은
Islam 세력이 지중해의 제해권을 장악하는 것을 막는데 성공하였는데
선박들은 여전히 Venezia로부터 Adriatic Sea, Greece 해안을 따라서...
Constantinople로 향하였다. 더 나아가 그 선박들은 Asia Minor, Egypt, Africa,
Sicilia, Spain의 Islam 항구에 드나들게 된다. 일단은 Islam 팽창의시기가 끝나자
Islam세계의 점증하는 번영은 Italy 해양도시 들에게 유리하게 작용되었으며,
이러한 번영 때문에 South Italy & Byzantine Empire에서 진보 된 문명,
다시 말해서 고대의 기반을 유지했던 문명이 살아남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서방에서는 Lyon "만"에서 Tevere River에 이르는 해안은 전쟁과 해적으로 인해
이제 적막한 오지가 되었다. 항구들과 도시들이 버려졌고, 동방과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Islam 연안과의 교류도 없었다.
Carolingian Dynasty은 Byzantine
Empire와 아주 대조적이었다. 그들은
출구가 없던 내륙 세력으로만 존재하였고,
서-지중해 지역은 과거에 Roman Empire에서
가장 활기찬 지역이었지만 이제는 가장 빈곤하고,
가장 황량하며 가장 위협이 많은 곳으로 변화되었다.
역사적으로 서방 문명의 축이 북부로 옮겨 갔으며
몇 세기 동안 서방 문명의 중심지는 Seine River→Rhine
River 사이의 지역이었다. 이시기부터 Germanic People이
유럽 문화의 재건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결론적으로
Islam 이 지중해의 통일성을 파괴시켰고 고전적인 전통적 가치가 무너진 것이다.
.
.
.
Caravansary
Olive Oil From Oneglia
결론적으로 8 c 이전 고대 지중해
경제(로마 경제)는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던 것이 8 C 이후 완전히 단절되었는데
지중해가 폐쇄된 시기, Merovingian Dynasty 시대
그나마 남아 있던 상업 활동이 자취를 감췄다.
Carolingian Dynasty 시대 재산의 유일한 형태는
토지이었으며 가장 활기차게 보였던 Gallia 남부 지역은
이제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그 시대 경제
성격을 좌우 했던 것은 북부지역으로 이곳은 9 C 전반기
Francks 제국의 최북단에서 매우 활발하였던 항해의 중심지이었다.

이것은 나머지 지역이 침체 된 것과 현저하게
대조되었던 것으로 전혀 새로운 사실도 아니다. Scheldt
(스헬트), Meuse, Rhine River가 합류하는 지점은
Britain과 해상 교역을 이루었고, 일부이기는 하지만 지중해를
통해 Spices를 비롯한 상품이 수입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모습도 Roman 세계의 전반적인 상업 활동의 일부분을
구성 하였던 연장선에 지나지 않는다. 그 지역은 제국의 가장 먼 변방
지역에 불과하였는데 북부 해안들은 여전히 자유로웠다. 더구나
Roman이래 그 지역의 항해 목적이 되었던 상품을 공급하던Flandre
직물 산업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지중해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지중해와는
어떤 연관성을 찾기 힘들다. 저지대의 강들과 Britain 과 북부의 바다를 중심으로 전개

이러한 북부 산업에서 Frisians(프리슬란트인)
들이 과거 지중해에서 Syria People 들이 하였던
역할에 충실하였고 이어서 Scandinavia People들이
가세한다. 주목되는 것은 Scandinavia People들은 Russia를
통해 Islam과 교역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그 지역은
활기를 되찾을 수 있었다는 점이다. (Greece 주화와 상품 발굴)
따라서 Carolingian Dynasty 시대 교역이 활발하게 진행
되었던 곳은 외적인 요소로 Norman의 간헐적인 침략으로 쇠퇴한
지역도 있었으나 North Italy, Venezia와 저지대 지방이었다.
이러한 두 지역이 11 C 경제적 부활의 시작이 되었고, 11 C 이전에
완전한 발전을 이룬다. 특히 Carolingian Dynasty 시대에는 금화 주조가
중지 되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는 상업
행위는 꿈에도 생각 못했던 시기였고, 더 이상의 직업적 상인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동방 상품(Spices, Silk, Papyrus )은 더 이상
유입되지 않았으며, 속인들이 읽거나 쓰거나 하는 일조차 할 수 없었다.
→ 문맹률 증가 당연하게도 체계적인 조세 제도 (유통 세, 염세) 또한 없었다.
Stained Glass
도시는 "상업 중심지"가 아니라 요새지(봉건적인 모습 !!)로
건축되어 순수한 종교적인 이유도 작용하였지만
농업 지향적인 단계로 후퇴되었던 시기이다. 즉 !!
이 시대는 상업, 신용대부, 정규적 교환이 더 이상 필요
없던 문명이 자리 잡았던 시대로 정의 내릴 수 있다.
Carolingian Dynasty 시대의 지배자들은 Islam 세력의
북부 진출을 억제시키는 데에는 성공하지만 그들은 바다를
다시 열 수 없었다. 또한 이 문제에 관한한 시도조차 하지 않았고
방어하기에만 급급할 수밖에 없었다는 의미가 된다. 오히려
Charles Martel은 상업적인 남부 도시를 파괴시키기도 한다.
도시는 파괴되고 문화적 후퇴를 경험하기 시작한다.→ 문맹 국으로 전락
통화는 끔직한 혼란 상태에 빠져 있었고, 유통되었던 금화는
사실상 없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8 C 당시 계약서에는 곡물이나
가축으로 가격이 산정되는 경우도 흔하게 작용되었으며, 화폐의 중량
혹은 순도의 기준도 없었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기 Pippin의
화폐 개혁은 Merovingian Dynasty 시대 지중해 화폐와의
완전한 단절을 의미하게 된다. ( → Denarius) Charlemagne 화폐개혁 완성
일부 상업지역에서 금화의 유통이 극소량 이루어졌지만 이미 대세는
은화로 전환되었던 시기이다. 화폐 개혁 = 지중해 경제와의 완전한 단절 의미
Merovingian Dynasty의 경제는 서-지중해의 항해(교역)에서만 성립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기부터 North Italy로 연결 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는 Alps를 넘어 가는 것뿐이었다. 반면
Provence에 이르는 통로는 이제 방기되어진다. 참고적으로
Gallia→ Spain으로 수출된 유일한 상품은 해적들과 Verdun의
Jews 들이 가져온 노예들이었다. 따라서 정상적인 국제무역은 8 C
이후 사망하였다고 보면 된다. 그나마 유일하게 남아 있던 것은
Jews들에 의해 국지적으로 소규모로 진행되던 국지 산업이었다. Spices,
Silk, Papyrus는 더 이상 Frank 왕국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Islam과의
교류 단절로 인해 부유한 상인계급이 사라졌고 조세를 청부하고
돈(화폐)을 빌려주는 자본가 또한 없었다. 도시에서도 상인계급에 대한
언급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예전의 비정기적인 상업 활동을 하던 사람들은
있었지만 이러한 상인들은 어디에도 있는 법이다. 이러한 사람들을
상인계급으로 치부할 수도 없었던 현실이었다. "물물 교환"이 주류를 이루던
System ...유동 자본의 축소 시장들은 많이 있었지만 정기 시 개념이 아니었던
그저 그런 작은 규모의 물물교환(Egg, Poultry, 농촌의 가내 수공품) 장소에 불과 하였다.
Byzantine Empire
Danube River Map
Carolingian Dynasty 시대의 정기 시는 Saint-Denis
정도만 언급할 수 있다. 간혹 귀금속, 진주, 가축 등 규모가
큰 거래의 중심에는 전문적인 거래를 성립시켰던 Jews
들이 있었다. 이러한 Jews 들은 Venezia People 들을 제외
하면 생계를 상업으로 해결하였던 사람들이었으며, 당시 상인 =
Jews들이었다. Franks 왕국에서는 이들 Jews들은 유통 세를 면제
받는 등의 특별한 혜택 속에 있었기도 하였다. 이것은 그들이 Franks
왕국의 국왕들에게는 절실한 존재였기에 가능하였던 부분이다.
(Spain에서는 착취와 박해 속에 있었다.) 그들이 행한 교역은 대규모
"원거리 교역"이 중심을 이뤘는데 그들은 당시 동방에 접촉되었던 유일한
집단이기도 하였다. Spain을 통해 Baghdad, Africa 그리고 Danube River를 거쳐 교역 강행 !!

Woven Stuff, Wine, Spices, Military, Slave = Jews

그들이 거래한 노예들 일부는 Franks 왕국, 거의
대부분은 Spain에 팔렸으며, 9 C 말 노예와 환관 무역
중심지는 Verdun이었다. 가장 이윤이 많이 남았던 사업 779년
이래 형식적인 금지조치가 있었으나 지속되었던 사업이다.
Merovingian Dynasty 시대에는 상품 유통이 경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지중해 폐쇄 이 전 활발한 농산물 거래도
있었고, 그것은 토지세, 지대가 화폐로 결제되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그렇지만 Carolingian Dynasty 시대에는 농산물의
정상적 유통의 흔적을 찾기 힘들다. 교회의 조명에 Oil이
사용되지 않았고, Spices가 사라졌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Wine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오히려 Wine을 구입할 수 없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그런데 Wine은 종교 활동에 필수적이었기에 Wine 생산할 수
있는 영지를 확보하는데 모든 노력이 경주되었다. 물론 기근 시 여분의... 
Grain & Wine을 가지고 있던 영주(장원소유자)는 그것을 팔아달라고 간청을
받았는데 그들은 높은 가격으로 그것을 팔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활동이
정규적인 상업 활동으로 볼 수 없다는 사실에 주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수도원의 자급자족 화)
주교들이 왕에게 서간(858)을 보내 자급자족이 가능하도록
당시 토지(은대지)를 소유하였던 영주들은(군사적 귀족) 어떤 종류의 상업에도 관여하지 않았다.

반면 "자유 농민"들은 이론적으로는
판매를 위한 상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점차로... 부과금과 토지 세에
부담을 갖게 되었으며 당시 사회 전체가
대토지와 사법권을 가진 군사 귀족들에게 예속된
상태이었다. 법령에는 자유민이 자주 등장
하지만 대부분은 자신들의 영주들을 갖고 있었고
반면에 공권은 사적 성격을 갖거나 그렇게 되고 있었던 시기이다.
.
.
.
Venezia Gondola
Genova & Venezia ...Economy
Crusade 원정이 비롯되기 전부터...통상에서...
전향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Adriatic Sea(1080)
아래쪽을 통제하던 Norman 왕국의 봉쇄를 뚫고, 지나가는데
성공하였고, Venezia는 당시 서방에서 유일한 함대를 보유하고
있던 Byzantium의 함대를 구조함으로써 중요한 해로를 확보하는데
역학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에 대한 보상으로 Byzantium 제국의 황제
Alexius 1세로부터 제국 전역 그리고 특히 Christian 세력 가운데
가장 크고 번영하였던 도시이면서 Central Asia를 통하는 관문이었던 중요
하였던 도시 Constantinople에서 말 그대로 완전한 교역 특권(1082)과 관세를
면제 받고 보증하는 특별한 증서(금인칙서)를 수여 받았다. 이로 인해
Levant로 교역을 확장할 수 있었던 기회를 포착한다. Venezia 들이
Crusade 원정에 미온적이었던 이유는 그들의 평판과 선박의 안정성 문제에 기인한다.

Mamluk 왕조의 강력한 힘이 Red Sea를
경유한 Indian Ocean의 직접적인 팽창을 봉쇄
하였던 시기 Venezia는 Middle East의 상업 중개자
들을 대체하고 Orient와의 직접적인 "상업적"결합을 발전
시킬 수 없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Central Asia(내륙지역)에 이르는 통로를 개척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일은 더 많은 비용을 야기 시키고, 위험하였으며
궁극적으로도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육상 수송은 해상을 통하는 것에
비해 대략 20배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Crusade
원정 전 후로 적극적인 역할 수용을 이루며, 국지적인 물품과 Adriatic Sea
건너편에 아직 기독교화 되기 않았던 인근지역으로부터 사로잡은
노예들과 Salt, Slave, Fish, Wine, Wood 등이 중요한 교역 품이 되어주었다.
.
.
.
Valletta ...
Gur Amir ...Mausoleum of Emir Timur
11 C에 이르면(말기) 북서유럽의 "전투 귀족"들은 성지 탈환을
목적으로 제 1차 Crusade 원정에 참여하며, 육로를 통해 Constantinople
-Palestine
까지 진출하였다. 그들이 지중해를 거쳐 Levant로 향하는
해로를 회피하였다는 사실은 당시 북서유럽과 지중해 연안 사이의 대륙에
존재하였던 "분기선"의 존재를 더없이 명백하게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연이은
Crusade의 원정에서 북서유럽이 그들의 군대를 Italy 선박으로 수송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하게 유럽의 나눠진 권역 Christian / Islam 사이의 관계가 변하고 있던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남유럽은 북서유럽과 달리 세계 체제로부터 분리되었다가
다시 결합되는 과정을 겪지 않았다. Dark Ages(암흑시대) 동안 북서 유럽은
빛이 소멸하였지만 남유럽(Italy)에서는 일시적으로 위축 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번영을
구가하였다. 일단 11 C에 유럽의 경제는 충분히 회복되었기 때문에 군사적 봉건제를
구성하는 많은 전사들의 Energy를 Palestine 지역의 "재 정 복"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Crusade 출병 초기 Acre 함락을 Palestine의 Crusade
왕국들로부터 탈환 되는 지표로 삼았고, 서유럽과 지중해 동부,
남부의 연안 국가들 사이에 접촉이 강화되는 시점을 제공한다. 또한
계속되던 Crusade 원정을 통해서 북유럽과 남유럽 사이의 경쟁적인 동맹
관계를 견고히 하는 계기가 주어진다. →교역로 확충(China + India + Europe)
Crusade 원정자체는 실패한 것으로 종지부를 찍게 되지만 결과적으로 Roman-
Empire의 붕괴 이 후 단절되었던 세계 체제에 북서 유럽을 재 결집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이며, 13 C 유럽 번영의 물꼬가 터졌고, 동방과의 접촉을
통해 유럽은 새로운 선진 문명의 도구들을 취합해 정치, 경제, 문화, 사회적으로 진일보
되었다는 사실이다. → 원정의 전리품(사치품) 당시 유럽은 노예, 귀금속(은), 목재,
모피를 제외하면 교환적 체계 속에서 제공할 것이 없었다. 그러나 동방의 수요에 따라
생산에 대한 자극이 뒤따랐고, 이러한 시기 대표적인 그들의 특산물로서 평원과 초지에서
방목한 "양의 털"로 생산한 고운 모직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도 Crusade에 의해
증대된 교역의 시회로 12-13 C 북서 유럽에서 발생한 농업, 광업, 제조업의 Renaissance로
볼 수 있으며, Flandre, France, Rhine River 유역 등을 핵으로 대륙 곳곳에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된다.

Marseille, Montpellier, Genova를 매개로
지중해 서부와 연결되었던 Flandre, France 뿐만
아니라 Rhine River를 통해서 North Sea로부터 지중해의
주요 출구이었던 Venezia까지 연결될 수 있었다. 중부 지역
에서도 도시화는 급격히 진행되었다. → 도시 중심의 교역 활성화
Fairs(정기 시) 따라서 이러한 도시들을 중심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동방과의 교역에 따른 수요 증가에 자극 받아 진전된 산업화는
바다의 출구를 보유하는 진정한 교역 집산지의 성장을 가져 왔는데
Brugge가 가장 대표적인 곳이었다. Constantinople을 통한 동방과 연결은
중세 또한 유지되었고, 이것은 China에 이르는 북쪽의 육로를 통해서만
가능하였기 때문에 안전하지도 않았고, 해상 교역에 비해 많은 비용과 Risk가
상존하였던 관계로 경제적일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지역이 Mongolia에
의해 통일 된 상태에 직면하고부터는 유럽인들은 이 길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Silk Road
Glass Making
Crusade 이전까지 Italy 대부분의 지역은 여전히 가난
하였던 주변적인 지역으로서 유럽 대부분으로부터 Salt, Slave,
Grain, Linen(아마포)을 공급하는 조달 자가 되어 다른 사람들의
편의를 제공하는 일에만 전념하였다. →Crusade 원정(1095-1291)
Crusade은 해양국가의 해군력이 신장되는데 기폭제가 되었으며, 해상 로
확보를 확보하는데 자연스런 기여를 하게 된다. 또한 선박제조업이
중요한 위치로 격상되는 게기를 부여하였는데 이 시점부터 도시 국가의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선박 건조(1104, 소형 → 대형화)를
위한 도시의 인력과 자금 확충 무엇보다도 선박들이 대형화되고, 기동성이 향상
되었고, 동시에 항해술도 중요한 개선을 이루었는데 China의 "부동의 자성을
띤 바늘"
은  선박에서 오랫동안 Compass로 이용되었고, Arab의 항해자들은
별자리에 의존한 천체 관측과 더불어 그러한 항해 도구를 이용하였지만
12 C 후반의 Italian 들은 Compass를 의미하는 변형된 형태의 Bussola(부솔라)를
채택하여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었다. 특히 전례 없이 정확한 항해를 위한 지도의
제작(해도), 항해표의 편찬과 더불어 Compass는 여름철에만 항해가 가능하였던 것을
이제는 연중 계속되는 항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참고적으로 항해표에 의해 정기적인
선단 운행 시기가 보편화 되어 자리 잡게 된 것은 14 C부타 라고 한다. 이러한
진보적 발전은 항해의 물리적 기술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그와 병행하여 경제적
기술의 발전과 마찬가지로 증가한 수송 능력을 견인하는데 필수불가결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서로 간의
위험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공동으로 선박을
운영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는 점이며, 아마도 그에
못지않게 자본을 공동으로 출자하여 위험을 분산시키는
방식을 창안한 일이다. 또한 선단과 무장 상인 수반
(안전망 구축)과 새로운 형태의 자본 수요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 당시 항해자들은 전투원이나 다름없었다.
실제 공해상에서 불시에 적의 기습으로부터 스스로와 자산을
방어하기 위한 System이 필요해졌다는 것이다. 기업가적 자본주의
(모험 자본주의)를 위해 존재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원조하기
위하여 존재하였던 도시국가의 특별한 관계에서 보면 Venezia &
Genova는 다른 양상으로 발전하여 왔다. Venezia는 개인 기업이라는
강력한 하위 요소를 거느린 "국가 자본주의"와 유사한 반면에 Genova는
국가보다는 개별 시민들이 직접적인 투자에 적극적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어쩌면 두 도시 국가의 서로 다른 기원에서부터 출발되었는지 모른다.
Caesarea
Olive Whole...
위험을 분산하고, 자본의 공동 출자...
공동 출자 방식 + 초기 자본주의 = Genova & Venezia
14 C 후반 까지 "가족 공동체"는 경제 조직의 기본적인 단위이기도 하였다.

Venezia는 신도시로서 Elite들은 "배후지"로부터 유입
되었던 사람들이 아니라 자생적으로 성장한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Genova를 포함한 대부분의 Italy 도시국가 들을 괴롭혔던
가문의 반목과 경쟁적이며 투쟁적인 요소는 미약하였다. 그에
반하여 Genova는 귀족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배후지에 기반을
가진 "토지 소유 계급"출신들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무대 위에서
해묵은 싸움을 반복하는 경향이 짙었다. 그것은 농촌의 군사적 갈등
으로부터 근대적인 도시의 상거래와 정치에서의 무자비한 경쟁을 유발시켰다.

그렇지만 모두 "사회 간접 자본"에 대한 투자와
공해상이나 본토의 방어를 위해 과세 대신에 공채
제도를 발전시켰고, 활용하게 되었다. 심지어 1200년
이전에도 Italy 도시국가들은 공채 제도를 통해 시민들에게
자발적으로 Commune에 돈을 빌려주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보답으로 이율의 변동은 있었어도 정기적으로 지불되던
"주식 지분"을 받았으며, 언제든지 자금이 풍부해지면 회수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13 C 동안에는 Venezia, Firenze에서 강제적인
공채 제도가 성행하였는데 이것은 특히 대규모적인 상업적 군사
활동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것이었다. Genova는 조금 더 개인적
성향이 일치하며, Commune에 대한 대부 정책이 실제로는 일정한 수익을
생산하는 국가의 기능에 대해 공채(주식)를 구매하는 것을 뜻하게 된다.
이러한 제도는 우에 유럽의 코뮌보다 Islam의 봉건제도와 흡사하며 일종의
"징세 청부"로 귀착되었다. 공채 제도는 도시 정부와 상인의 "부" 사이에
독특한 관계 설정을 이루게 하였고, 국가가 수익성 있는 자본 투자의 또 다른
출구로서 간주됨으로써 상인들의 참여를 원하고 지배하기를 원하는 구도로
진행되었다는 것이다.14-15 C Genova, Venezia에서 진정한 공채의 가치에 대한
투기가 대상인들의 업무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정부가 하나의 조합으로
운영 되었던 점은 "상인 자본주의"와 부합된다. 지배계급의 상업자본 형태(선박, 현금, 상품)
로부터 생계문제가 해결되고 그들의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정부를 지배하였다는
의미에서 Venezia는 유럽 최초의 자본주의적인 도시이었다. 자본주의를 준비하고 있던
산업가(Flandre), 상인, 장인(Italy) →13 C 호황 자발적 참여, 투자, 공동의 이익(균등 분배), 수익 극대화

14 C에 이르러 세계경제는 통합을 강화하기 시작하며,
이에 대한  뚜렷한 증거들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것은 쉽게
세계제체라고 부를 만 한 자본주의적인 것들이 형성되었다는
의미이다. 14 C 전반을 기준으로 제국주의적 팽창이 이뤄지던
1,200년경의 Venezia의 인구는 대략 8만 명이었다. 그렇지만 1300년대
인구는 두 배로 증가하고, 도시 내부에 12만 명 변두리 지역에서도
4만 명을 헤아리게 되었으며, 점차로 확대되는 추세를 보인다. Irony
하지만 Venezia & Genova의 파멸을 불러온 것도 두 도시국가의 제국적인
팽창에 기인하며, 흑사병은 두 도시 모두 이용하던Krym 반도의 항구
도시로부터 Italy에 전해졌는데 그 도시를 포위 공격하던 Mongolia의 군대도
악성 전염병에 희생을 당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1347... 가을 고국으로
귀환한 Venezia의 "갤리선의 쥐"들을 통해 전 유럽에 확산되었는데 교역 중심지
(집산지)로부터 파급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론적으로  "흑사병"
Genova & Venezia을 휩쓸어 인구절반이 희생되었지만 추정하건대 장기적이고,
간접적인 결과 못지않게 중요해졌던 것이 생계를 위해 농촌으로부터 이주를 통해
어느 정도 상실된 인구가 채워졌으나 주변적인 지역들의 인구 감소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농업 활동"에 종사하는 인구의 감소와 그에 수반된
상업 생산의 위축은 교환이 가능한 잉여 생산물을 감소시켰고, 임금 수준이 개선되었다고
하더라도 줄어든 인구는 총 수요의 감소를 의미하였다. 그러므로 "흑사병"이 후
무역(교역) 량은 감소되었고 중개상들이 일정한 역할을 하였던 도시들은 명백하지만
커다란 타격을 입게 된다. 무엇보다도 경제적 쇠퇴는 농촌의 흉작과 더불어 조심스럽게
진행되었고, 이러한 요소들이 도시 재정에 치명적으로 다가서며, 위기가 도래 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Roman Senate Fountain ...Rome
더구나 도시의 지출과 그것을 뒷받침 하였던
세금은 1330-1340년대에 절정기에 이르렀으나 공채
발행이 늘어남으로써 상황이 어렵게 되자 흑사병 이전에도
은행들의 파산으로 이어지는 치명타를 날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따른  도시들의 최초의 반응은 더 작아진 시장에서
더 커다란 Pie를 확보하기 위해서 경쟁을 강화하는 것뿐이었다.
때문에 Genova & Venezia의 사투의 역사는 필연적으로 확대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더불어"보호 세"라는 비용이 증가되고, 위험요소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수송비를 상승시키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선박과 화물은
파괴와 포획의 노출되어 결과적으로는 최종 비용의 증가를 유발 시키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도 Venezia가 지중해 노선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한 시기부터 교역이 안전해졌다. 근본적으로 Orient에 이르는 대안적인
노선들이 봉쇄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독점은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당시 "독점"이라는 것은 국제 체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 가치로 여겨졌다.

Genova의 지배영역은 Asia Minor Constantinople
(북부지역)Black Sea, Central Asia를 통하는 육로이었다.
이러한 유리한 교역로는 14 C에 이르면 어느 것도 유용하지 않게
되는데 Portugal-Castilla가 대서양에 접한 유리한 지리적 입지 때문에
South Spain에 남아있던 Islam 세력과 직접적으로 경쟁할 이유가
없었다고 하지만 그들은 North Sea에서 Genova의 패권에 도전하게 된다.
더구나 13 C에 현저히 통합되어 중개 무역을 용이하게 하였던 Mongolia 제국이
붕괴되면서 Asia를 가로지르던 "북방 노선"이 점차로 중단되기에 이른다.
Genova가 흑사병으로부터 회복하는데 실패한 것과 해군이 Venezia에서 결정적으로
패전한 사실, Venezia의 강력함 못지않게 Genova의 허약함으로 인해서
야기된 결과인 것이다. 따라서 Genova는 다른 유럽 경쟁국들 그들이 미치지
못하던 Central Asia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상업제국 위치는 상실되었다.
그와 대조적으로 Venezia의 남쪽 해상 노선의 선택은 행운이었음이 입증되는 것이다.

Venezia의 동방교역은 Egypt Red Sea를
경유하여 16 C 초기까지 지속되었으며 13 C
세계체제는 16 C 상이한 유형의 가느다란 섬유를
통해 이어진다. Genova에서는 상인들의 안전망을 확보
하는 목적으로 공공의 부를 동원하기 힘들었던 반면에
Venezia에서는 항구, 선박, 방어용 무기는 공유 재산의 공급을
통해서 언제나 상인들에게 보조금과 안전을 제공하였던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Venezia와의 동방 교역체제 사이의 연결은
14 C 후반-15 C 계속 계속된다. 이러한 System는
조직화 되었던 대신에 점차로 소규모 다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일시적으로 더 작아진 시장에 대한 자신들의 몫을
확대시키려는 움직임 속에서도 집요하게 이루어졌다. 동방
교역은 북쪽으로는 Asia Minor → China 까지 연결시켰고
남쪽의 해상 노선을 통하여 Egypt→ India → Malaysia → China
까지 연결되었다. 즉 !! 해양 상인국가들에 의해 활력이 넘쳤던 동방
교역에 결합된 서유럽은 결국 교역체제 내부에 편입되었고, 비록
아직 패권적 위치에 있지 않았던 상태였지만 적어도 동등한 동업자가
되었다. 16 C에 이르면 두 도시 국가는 해상의 지배자로 군림
하기를 포기한다. → Venezia(뛰어난 정부) VS Genova(유력가문)에 만연한 개인주의
.
.
.
Turning Point
Hanseatic League = Hansa
Deutschland 북부의 도시들과 외국에
있는 상업 집단이 상호교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창설한 조직으로 북유럽의 중요한 경제, 정치적
세력(13-15 C)으로 Deutschland 상인들이 활동한
2개의 주요지역 북해 연안의 저지대 및 Britain Island와
교역 관계를 갖고 있던 Rhineland(라인란트)에서
출발 되어진 조직체이다. 유럽 북동부의 방대한 배후지와
서유럽 및 지중해 지역 사이에서 중개상을 활발하게
전개한 발트 해 연안 지역에 있던 지방의 상인단체들이기도 하였다.

Rhine 지방의 다양한 상인 집단들은 그들의
공통된 이익을 지키기 위해 협력했고, 발트 해
무역을 지배한 항구도시 Lubeck(뤼베크) 및 그 밖의
Deutschland 북부 도시들과 동맹을 맺게 되었는데
목적은 해적 및 산적을 진압하고, 항해의 안전을 촉진하며,
무역기지와 독점권을 확립함으로써 교역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 1280

그렇지만 Hansa 동맹의 공격적인
"보호 무역정책"은 현지 상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전쟁이 벌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결정적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던 것은
각 도시의 특유한 이해관계와 지역적인 이익이
공통된 관심사보다 비중이 커지기 시작하면서
발트 해 국가들의 세력이 점점 커진 것을 꼽을 수
있는데 16 C 중엽에 이르자 Netherlands People이
발트 해에서 서쪽으로 상품을 수송하는 해운업을
장악하게 되었고 이것이 Lubeck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Deutschland 자체에서도 Brandenburg(브란덴부르크),
Preussen 같은 군주국 통합체가 Hansa 동맹을 약화시켜,
Hansa 동맹은 신대륙 발견 시대에 서서히 사라졌다. 마지막 만남 → 1669
.
.
.
Genova Via XX Settembre
RevolutionFilms Genova
San Marco
Genova & Venezia Salt Trade
유럽(지중해)에서 Salt "교역 망"을 최초로 개척한 사람들은
Genova People들이다. Genova는 제 2차 Cartago War에서 사실상
파괴되었다가 4 C에 Roman에 의해 새로운 성벽이 구축되면서5 C부터
사람들의 정착이 이뤄졌으며, Byzantium의 지배(588)하에 놓여 지기
전까지 "East-Goth People"들과 Lombard People들의 지배하에 있었다.
6 -10 C 까지는 Constantinople의 명목상의 지배를 받으며, 주민들 대부분 간단한
"어로 작업과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지역으로 사실상 교역은 초기 단계에
있었고, 군사적으로 강국이 아니었던 Genova는 최상의 국가 방어 수단으로 전향적
"금권 정치"를 이용하였는데 Genova는 약탈에서 교역으로 약탈한 물건의
공매를 통해서 상품의 중계자로서 변신을 이뤘고, 당시 상업 제국이었던 Genova의
혈액과 같은 역할을 수행 하였던 것은 "Salt"이었으며, 한마디로 "상업 자본"의 밑바탕에는
Salt가 핵심적인 자리에 위치하였다. 사실상 10 C에 시작 되었다고 볼 수 있는
Crusades War 시기에 이르면 Genova는 지중해 연안의 교역의 중심국으로 이미
서-지중해의 Islam 세력들과 충돌을 일으키는 한편 이 후 설명되겠지만 Islam으로부터
교역상의 특권인 관세를 면제 받으며 무역 활동을 수행할 정도로 상대국과 묘한 관계를 성립시킨다.

또한 Genova는 11 C 말기 까지 피지배적인 위치에 있었으나
Byzantium로부터 독립적 위치 확보하게 되었다. 항상 Genova는
Milano의 금속 제품을 사들여 지중해 전 지역에 재분배하였고 Napoli &
Sicilia에서 Velvet을 짜는 Lucca의 직공들에게 생사를 구매하여 공급
하였으며, 이것을 Paris & Lyon에서 판매하기도 한다. 또한 Toscana의 Mill을
사들여 자체 충당하였는데 Italy 해안 지역에 수출하는 Salami Sausage
맛을 내는데도 Salt가 사용되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처럼 수입, 수출,
중계 무역으로 교역이 활성화 되면서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었으나 이로
인하여 좀 더 많은 지역에서 많은 Salt를 필요로 하였던 Genova는 교역에 있어서
Ibiza(Spain)를 대상으로는 Aragon과 분쟁을 조장 하기도 하였고, 이교도와
교역을 한다는 이유로 교황청과도 외교적 분쟁을 벌였다. 주목되는 것은 이러한 시기
"서 지중해" 전역에서 Salt를 구입한 Genova로 인해 유럽에서 "다단계천일제염법"이 급속히
활성화 되며, 전체적으로 생산량 증가를 유발시킨다는 사실이다. 또한 Genova의 영웅
Christopher Columbus도 자신의 항해 비용 일부를 Valencia "염전"의 왕실 감독관으로부터
충당하기도 하였으며, Spain의 경우 식민지에서 "Peru(은 광산)"이 발견되기 전까지...
Valencia Slat의 국제적인 중계를 통하여 지중해로부터 얻어진 자금을 대서양에 쏟아 붓기도 하였다.
Salt ... Salt ... Salt
Salt Trade
Krym, Cyprus, Alexandria, Ibiza...
.
.
.
한편으로는 Muslim들로부터 Spain에서 떨어진 도서 지역과
North-Africa 연안 지역에서 중요한 특권을 확보하였고, 서-지중해를
장악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Venezia의 경우 후발주자로서
Constantinople & Black Sea(흑해)뿐만 아니라 Aegean Sea와 그곳의
일부 도서에 기항지를 갖췄고, 실용적인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지중해 동부"에서
독자적인 연락망을 구축하여 갔다. 따라서 Venezia가 이와 같은 위치를
고수한 것과 Genova가 좀 더 부유한 동방 시장에 뛰어 들기를 갈망하였던 것은
서로 맞물려 있었고 결국 충돌하기에 이른다. Venezia의 경우 제도적으로는
좀 더 체계화 되어 있었던 것 같다. 대부호들도 서로 경쟁을 하기보다는 보완관계에
있어서 Venezia 자체가 잘 꾸며진 하나의 거대한 조직체로서 존재하게 되었고,
실질적으로도 Salt ...Genova 사람들보다는 Venezia 사람들에게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다.

중요한 것은 Salt의 기능과 관리되는 상황도 달랐다는 점이다.
사실상 10 C 이전만 해도 Venezia People들은 지중해를 횡단 할...
능력을 갖추고 있었던 숙련된 항해자들이었고, 다른 유럽의 항구에서와
마찬가지로 Greece, Syria, 그리고 지중해 동쪽 지역 사람들이 Levant,
Venezia 사이의 대부분의 교역을 수행하였으며, 어느 시기에는 Venezia 더불어
Byzantium 내의 항구 등에서 교역 특전을 획득하고 수혜(독점권)를 받기도
하였다. 현재의 Venezia를 찾는 관광객들이 한번쯤은 거치는 곳이 "Torcello
(토로첼로)"섬으로 알고 있다. Lombard People의 영토 확장(5-6 C) 정책으로 육지에서
쫓겨난 "Altino People" 들이 들러와 살게 된 곳으로 그들은 이곳을 정치, 종교, 경제의
요충지로 되었고, Venezia가 만들어진 핵심적인 장소이기도 하다.Torcello → Murano까지
어느 지역은 1,000년 경 "염전"이 들어선 Venezia 최초의 간석지들 가운데 하나이었으며,
Venezia 공국이 Salt & Trade에 힘입어 경제적 번영과 상업적 우위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염전"은 태양과 바다 사이에 존재하였고, Venezia는
강력한 해상 도시가 되었다. 그래서 도시와 바다는 신화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는데 실제로 Altino People 들은 바다로 내몰린 후
바다에서 얻을 수 있었던 자원 특히 염전에서 채취한 Salt를 활용하였으며,
미래의 Venezia People는 Salt를 먼 지역으로 수출하여 처음에는
그들이 필요로 하였던 Grain과 교환하는 단순한 형태의 "물물교환"이 주를
이뤘으나 점차로 육지의 도시들은 Venezia에서 Salt를 조달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Venezia는 Salt의 생산과 판매
까지도 독점하게 되는 유리한 입장이었고, 이로 인해 Venezia는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리기도 하였다. 전쟁을 통해서 Venezia는 경쟁 상대의 "염전"을
점령하거나 파괴시키고, 전쟁이 승리한 후에는 Salt를 Venezia를 통해서만 조달하도록
강요하는 유리한 협정을 체결하고는 하였는데 전성기는 12-13 C 초기에 해당하며,
당시 염전들은 넓은 지역에 걸쳐 펼쳐져 있었고 20 C에 이르기 까지 존속되었던 곳도 있었다.

Venezia의 염전들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간석지
부근에 폭풍이나 홍수, 전염병과 같은 돌발 사태와 같은
외부적 요인과 기후 변화와 강물의 범람으로 인해 Adriatic Sea의
모래 해안이 수시로 침식해 들어왔기 때문에 취약하기만
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대규모 토목 공사가 필요로 하였고, 이에
따라 강력한 통치 기반을 갖출 수밖에 없었다. → 인력 조달과 재정의 확보
Jewish Rabbi
Jewish Ghetto Venezia
.
.
.
또한 Venezia에는 "염세"가 제정되었는데 이러한
Salt에 대한 세금은 강력한 정치 권력을 의미하였고, 그러한
정치권력은 자연적으로 경제적 힘까지 갖추어 주게 하였다. 즉 !!
원산지 들로부터 Venezia로 Salt가 들어 와서 다시 수출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렇듯 Salt의 채취와 판매가 Venezia People 들에게는
공급의 초기부터 경제적 모델로 제시되었던 것은 "독점"이라는 입지가
판매"가격의 결정권"을 가지기 때문에 "부"의 증대를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당시
Venezia의 지배적인 상인들은 잘 알고 있었고 Salt를 제공하였던 북부 도시들에게도 적용되었다.

이때 Venezia는 독점권을 올바르게 부여받기
위하여 경제적 지배권과 군사적 우위를 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Venezia는
지중해 연안에서 Spices(Pepper), Perfume, Woven Stuff, 그리고
동방에서 들어오는 다른 사치품들과 수입을 통제하고 "독점"하기에 이르렀다.
Venezia가 보유한 함대는 동부 지중해에서 특히 Turk-Osman에
대해 전략적 우위를 보유 하였으며, 애당초 염전 경영을 통하여 깨달은 것
이상의 교훈을 갖게 되었다. 참고적으로 Venezia 염전의 지도(구조적 형태)를
보면 Venezia 도시 자체의 구역들과 동일한 구조, 배치를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염전"의 모델은 도시 구획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쳤고 Venezia의 도시
구획은 또 다른 도시 무엇보다도 20-21 C 강력한 국가로 부상한
United States of America의 도시계획에도 상당부분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졌다.

Salt Trade
Tunisia, Cyprus, Valeares, Greece, Istra
Italy → Barletta, Libya → Tripoli, Spain → Ibiza
.
.
.
12 C 내내 Italy People 들은 대형 선박을
건조와 함께 무장시켰으며, Islam, Christian을
막론하고, 전리품으로서 취약한 선박을 약탈하기도 한다.
또한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는 교역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였다.
따라서 지중해 연안 혹은 주변 섬들의 항구들을 점령하면서
제국의 범위를 확대하고, 공고히 하였으며, 그들의 행선지는 유서
깊은 Levant에 위치한 Crusade의 고립된 영토와 Constantinople 두 곳이었다.

A.
고립된 지역은∼
육로를 통한 Persian
Gulf로 연결되었던 대상로

B.
Constantinople / Byzantium

Constantinople 붕괴 후 Venezia People 들은 고위
관직을 탐하지 않았고, 오로지 "상업 제국"을 확장시키는
것만을 원하였는데 그들은 Byzantium Empire의 8 분의 3을
요구하는 것을 관철 시킨다. 이로써 제국의 영토 가운데
가장 좋은 곳을 차지하며, 그 가운데 Creta Island 전체가 포함
되어 있었으며, 14-15 C에 이르기까지 이곳에서 Spices 교역을 관리
하게 된다. 또한 설명되었듯이 경쟁자 Genova & Pisa를 자신들의
패권적 지배가 미치던 지역으로부터 배제시킴으로써 이제 Levant 북쪽의
Caspie Sea, Black Sea, East Mediterranean Sea 그 도서 지역을 거쳐서
Adriatic Sea까지 세력을 확장하였고, 육로로는 Alps를 넘어 Deutschland
& North Sea까지 이르게 되었다. 또한 Egypt와의 동맹이 하나 더 추가됨으로써
Asia의 Silk(Velvet) & Spices에 대한 유럽의 출입을 통제하는 주도적 세력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13 C는 문화, 정치, 산업(조선, 수송) 상거래에서 Venezia의
전성기이었다. 그러나 Genova도 그에 못지않았는데 North Africa와 북서 유럽
지역에서는 여전히 그들에게 위협이 될 만한 경쟁자가 없었다. 대표적으로 Champagne를
재건하였고, 13 C에 이르러서 대서양과 Belgium(Brugge)로 진출하면서 그 지배력을 공고히 하였다.
.
.
.
해군력과 상업에서 타의추종을 불허할 만큼 경쟁하던
Genova & Venezia의 상대적 지위는 13 C 말기에 다변하는
지리적 정치적 상황의 맥락 속에서 변화를 맞이한다. Genova의
회복은 당시 초강대국 사이에서 투쟁적 의식이 재개되는 신호이었으며,
결과적으로 Venezia는 Chioggia Island에서(1380), Genova를
패전시킴으로써 종말을 고했다. 이에 따라 성립된 Torino 강화조약
(1381)에 의해 지중해 특히 Orient 교역에 대한 Venezia의 독점적 지배
라는 유산을 남기게 된다. 잠시 !! 배경 설명을 하자면 13 C 후반 ...Italy 도시
국가들의 동방 연결로들은 일련의 재편성을 겪게 되었는데 중앙로는
없어졌고, 남은 통로는 남쪽, 북쪽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유럽이 Middle East
심장부로 확장해 갔던 통로가 그처럼 쪼개진 것은 Mongolia가 Baghdad를
파괴하고(1258) 북동쪽에 위치한 Tabriz에 수도(거점도시)를 건설하면서부터 시작
되었다는 사실이다. 그에 따라 Crusade 왕국으로부터 Acre에서 육상으로 이르게 되고,
Tigris River를 따라 Basra까지 갔으며, 그곳에서 바다를 향해 항해하며 Arab Persia
사막을 통과하여 인도양까지 이르렀던 오래된 대상로의 매력이 감소되었다는 사실이다. 더구나
13 C 말에 Palestine Crusade기지들의 상실로 오래된 통로를 떠받쳐주었던 기반이 더욱 약화되었다.
Golden Horn...
Turkish Coffee
Colosseum In Rome
Indian Ocean에 진입하기 전에 일부의 경우 Central-
Asia을 거쳐 북쪽으로 이동하거나 아니면 South Egypt를
거치고 Red Sea 지나서 Aden에 이르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던
시점이었다.이 후 Black Sea 육상 교역에 관한 Venezia People
독점권은 파괴되었으며 Genova가 Byzantium의 도시 장악에 원조를
하였고, 그 대가로 이 지역에서의 패권적 유럽 세력으로 복귀하게 된 것은
Venezia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현실이었을 것이다. 하여간 Genova는
Golden Horn(금각만)에 인접하고 있던 Farah(페라), Black Sea, Caspian-
Sea 사이에 위치한 Capa에서 자유롭게 동방과의 교역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것은
Pax Mongolica에 의해 촉진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예컨대 Marco Polo
부친과 삼촌이 Venezia로부터 Khan의 나라로 여행을 출발(1261)할 무렵 Constantinople을
경유하였다는 사실과 귀환 길에는 여전히 Crusade의 점령 하에 있던 Acre를 이용
(1268)하였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Marco Polo를 동반한 여행에서 이들은....
Constantinople을 피했고, 그 대신 Persia를 거쳐 Arab-Persia Gulf로 향했다(1273).
따라서 북쪽으로부터 쫓겨나고 남쪽으로 새로운 시선을 돌리던 시기라고 볼 수 있을 듯싶다.

이러한 시기 Egypt로부터 변화의 바람이 불어오는데
Mamluk Sultan의 10년간의 공위기간(1250-1260)을 거친
Egypt에서 Saladin이 계승자가 되어 Ayyubids(아유비드) 왕조로
대체되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Venezia의 경쟁 맞수
Genova를 상대하기 위해서는 노예나 그 병사(노예)로 구성된 새로운 군인
Caste와의 관계 강화가 절실해졌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전략은 Mamluk
왕조가(1291) Crusade 왕국의 수도이자 제국 내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유럽의
거점 Acre가 재정복되어 Saladin이 과업이 완수되었을 때 그러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따라서 Crusade 종결로 말미암아 교역로가 동업자에 대한
핵심적인 통로가 되었으며, 그로 인해 Spices 교역을 독점적으로 지배하려던 Venezia
교역상과 관세, 요금을 통해서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려던 이해관계에 따라 Venezia
& Mamluk 국가 사이에 미묘한 대립관계가 형성되었고, 노예를 통한 Venezia
& Mamluk Connection이 형성되었다. → 동방 해상 교역권을 두고 각축장으로 변한 지중해

그러나 Genova의 움직임도 만만치 않았는데
동방과의 해상 교역권을 그냥 앉아서 양도하지 않으려는
움직임으로 그들은 대서양을 통과하여 서쪽으로 항해
하면서 이에 대응된 전략적 위치를 갖게 된다. Africa를 돌아서
India Empire에 도착하려는 Genova People의 시도(1291)는
비록 성공하지는 못하였으나 의욕적인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Genova People의 시도는 일부 거시적인 성과를 거두게 된다.
따라서 13 C 북해 연안국가들, England, Flandre 등과 상업적인
해상연결망을 확립할 수 있었던 기회가 되었다. Islam 세력이 Strait of
Gibraltar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봉쇄 하였는지는 모르지만
어찌되었든지 Genova People 들의 선박은 언제나 그곳을 통과하고 있었다.

또한 Spain(Castilla) & Genova 연합 함대에 의해
Islam 해군이 결정적으로 패전(1293) 하면서 Brugge와의
교역은 정기적인 형태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으며 13 C
후반에서 14 C 전반에도 Genova, Venezia 항구도시는 발전을
거듭하였고 세계 경제(유럽 중심)의 모든 부분은 실질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영향권을 확대해 나갔다. 그리고 나름대로 자신들의
Hegemony에 따라 일정 부분 확보하고 있던 시기이다. Genova & Venezia
경쟁은 결과적으로는 누구도 상대를 완벽하게 제압하지 못하였고, 모두
각각 일정 부분의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그들은 서유럽 전 지역에서
교역을 하였고, Far East(극동) Asia의 교역을 지속적으로 중개하고 Middle
East-North Africa 경제권에 이르기 까지 의미 있었던 적극적인 침투가 이루어졌다.

Genova / Brugge, Black Sea
Venezia / Cairo, Antwerpen, Luebeck
Egyptian Woman
Turning Point
Venezia & Genova의 교역 상인들의 이동로 예 !! 화물은
직물, 무기, 금속이었고, Tunis, Tripoli, Alexandria에서 생필품,
Orient의 수입품 그리고 Acre, Antioch 등 Syria 항구에 정박
하여 여행자, 순례자, 대상들을 태우기도 하였는데 동방으로부터 유입된
Spices 집산지는 Cyprus Famagusta(파마구스타)이었다. Marco Polo에 따르면
Persia, Armenia 노선에서 세상에 존재하는 온갖 종류의 Spices, "비단 황금,
직물"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반면에 Chios Island에서는 Wine & Salt를 위한 기항지이었다.

Levant 교역의 커다란 교차로에 있었던 Byzantium은
필수적인 정박지로 그리고 Black Sea를 횡단하여 Krym 반도의
Feodosia(카파)에서 Mongolia 노선에 다가가서 Russia & Asia의
산물(밀, 모피, 밀랍, 저린 생선, 비단, 노예)을 선적하였다. 그들은 이렇게
많은 것들을 판매하기 위해서 Orient에서 유럽으로 귀환 하지 않았으며
그것들을 판매하기위해 시노페(흑해연안에 위치한 항구도시) 혹은 Trabzon에
정박하였다. 대담한 자들은 그곳에서 배에서 내려 Sivas 까지 경비대의
호위를 받으며 이동하였고 항해하며 Tabriz & India로 이동하게 된다. 심지어
China으로 가지 여행하기도 하였다. Venezia 상인들도 마찬가지였겠지만 하나의
장소에 방문하여 이처럼 화물을 내려놓고 다른 장소에서는 판매할 물건을 승선 시키고
유사한 우회노선으로 인도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Egypt에서 정박에 앞서 아마도
북쪽의 Kavkaz 지역 출신의 노예들을 승선 시켰을 것인데 본질적으로 Mamluk의 노예
병사들을 Egypt 통치자에게 공급할 수 있었던 역량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공급 이면에서 Egypt 통치자는 Spices, 면직물, 아마포 그리고 그들의
지위가 하락할 무렵에는 원면을 안정적이며 추가로 늘어나는 부분까지 공급해야 하였다.
.
.
.
Treviso Landscape
.
.
.
Ofra Haza
Yemenite Songs-Im Nin Alv

by Beercook | 2009/06/02 05:48 | History ...Package | 트랙백

트랙백 주소 : http://Redbeans.egloos.com/tb/2334836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